[김형규의 자전거 역사문화기행] 화염 속에 사라진 슬픔, 이국적 자연풍광이 ‘위로’
[김형규의 자전거 역사문화기행] 화염 속에 사라진 슬픔, 이국적 자연풍광이 ‘위로’
화해와 평화의 땅 제주도 ⑧ 잃어버린 마을을 찾아서
  • 김형규 자전거 여행가
  • 승인 2018.12.22 11:00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지석 뒤편이 4.3사건으로 불에 타 사라진 종남마을이다. 표지석이 없다면 찾기 힘들 정도로 수풀에 가려져 있다.
표지석 뒤편이 4.3사건으로 불에 타 사라진 종남마을이다. 표지석이 없다면 찾기 힘들 정도로 수풀에 가려져 있다.
종남마을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돌담.
종남마을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돌담.

[굿모닝충청 김형규 자전거여행가] 잡초가 무성한 구릉지대를 한 시간이나 샅샅이 뒤졌으나 사금파리 한 조각 찾을 수 없었다.

내비게이션에 제주시 조천읍 와산리 464번지를 입력하고 목적지에 도착했으나 정확한 지점을 잡지 못한 것이다.

4.3사건 유적지 아카이브에는 ‘종남마을’ 위치를 ‘464번지 일대’라고 뭉뚱그려 소개했다. 좌표도 병기했지만 일반사람에게는 무용지물이다. 포기하고 되돌아갈까 하다가 차 한 대 겨우 진입할만한 오솔길로 더 들어가 보기로 했다. 300m쯤 진입했을까 정면에 ‘T’자로 갈라지는 콘크리트길 모퉁이에 표지석이 눈에 잡혔다.

‘찾았다.’

종남마을 터는 수풀로 뒤덮여 흔적조차 가늠하기 힘들었다. 마을이 사라진 지 70년의 세월이 흘렀다 하더라도 방문객을 위해 최소한의 관리정도는 해줘야하지 않을까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4.3유적지 안내판은 잡목 뒤에 가려져 있다. 모퉁이에 ‘와산리 종남밭’이라는 표지석이 없다면 ‘잃어버린 마을’을 찾아내기란 사막에서 바늘 찾기다.     

종남마을은 와산 본동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당오름 정상 뒤편에 자리잡고 있었다. 4․3 사건 당시 10여호에 약 50명의 주민이 밭을 일구고 가축을 기르며 살았다.

종남마을은 1948년 11월 20일 초토화작전으로 불탄 이후 영영 잃어버린 마을이 됐다. 이곳에서 1㎞ 떨어진 제비동(제비보리)마을 8가구도 불에 타 사라졌다.

4.3사건 당시 유난히 피해가 컸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는 불에 타 죽은 나무 ‘불카분낭’이 기적적으로 되살아나 화제가 되고 있다.
4.3사건 당시 유난히 피해가 컸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는 불에 타 죽은 나무 ‘불카분낭’이 기적적으로 되살아나 화제가 되고 있다.
4.3사건 당시 경찰이 무장대로 오인해 쏜 총탄에 턱을 맞아 평생 말을 하지 못하고 제대로 먹지도 못한 채 무명천으로 턱을 가리고 살다 죽은 진아영할머니(1914-2004) 집터(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4.3사건 당시 경찰이 무장대로 오인해 쏜 총탄에 턱을 맞아 평생 말을 하지 못하고 제대로 먹지도 못한 채 무명천으로 턱을 가리고 살다 죽은 진아영할머니(1914-2004) 집터(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4.3사건 당시 제주 전역에서 전소된 가옥은 3만여 채에 이른다. 4.3사건이 종결된 이후에도 인기척이 끊긴 ‘잃어버린 마을’은 종남마을, 곤흘마을, 다랑쉬마을 등 100곳에 이른다. 대부분 중산간 마을이다.

중산간마을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은 건 1948년 10월 17일 제9연대장 송요찬 소령이 “해안선으로부터 5㎞이상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모두 폭도배로 간주한다”는 포고문을 발표하면서 부터다. 포고령은 소개령으로 이어져 중산간마을 주민들은 해촌으로 강제 이주됐다.

11월 17일에는 계엄령이 선포돼 ‘태워 없애고, 굶겨 없애고, 죽여 없애는’ ‘삼진작전(三盡作戰)’이 전개됐다. 이 과정에서 중산간마을 95%가 불에 탔다. 생활터전을 잃은 주민 2만 여 명은 살기 위해 한라산 깊은 곳으로 도피했다.

4.3 사건의 음습한 현장을 둘러보면서 수많은 원혼의 울부짖음이 귓전에 울리는 듯한 환영에 빠졌다. 무거운 마음을 그나마 달래준 것은 제주도 중산간의 아기자기한 자연풍광과 부락의 토속미였다. 잘 정돈된 이국적 관광휴양지 이면에 신비로이 감춰진 제주도만의 시골풍경을 대면하는 즐거움이 쏠쏠했다.   

‘불카분낭’이 있는 선흘리 마을 입구. 제주도의 토속미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마을이다.
‘불카분낭’이 있는 선흘리 마을 입구. 제주도의 토속미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마을이다.

제주시에서 20㎞쯤 떨어진 선흘리 ‘불카분낭’ 탐방은 보물을 간직한 오지마을을 남몰래 찾아가는 짜릿함을 안겨줬다. ‘불카분낭’은 ‘불에 탄 나무’라는 뜻이다.

초토화작전으로 마을이 불타면서 마을 안쪽 팽나무도 함께 불에 탔다. 죽은 줄 알았던 팽나무는 몇 년이 지나 새살이 나고 새싹이 돋았다. 화마에 죽은 굽이에서는 어디선가 날아온 다른 나무의 씨가 싹을 틔웠다.

오후 5시쯤 선흘리로 가는 왕복 2차선 ‘북선로’는 자동차가 거의 다니지 않았다. 일주도로에서 중산간 방면으로 꺾어 들어가는 제주도의 대다수 도로는 북선로처럼 차도라기보다는 산책로 같았다.

남제주군 안덕면 동광리 무등이왓 마을 130가구는 1948년 11월21일 초토화작전으로 모두 불에 타 없어지고 100여명의 주민이 희생됐다.
남제주군 안덕면 동광리 무등이왓 마을 130가구는 1948년 11월21일 초토화작전으로 모두 불에 타 없어지고 100여명의 주민이 희생됐다.
진아영할머니 집터 뒤편은 언제 4.3사건의 비극이 있었냐는 듯 눈이 시릴 정도로 푸르른 바다풍경이 많은 이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진아영할머니 집터 뒤편은 언제 4.3사건의 비극이 있었냐는 듯 눈이 시릴 정도로 푸르른 바다풍경이 많은 이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무등이왓 인근에 위치한 삼밭구석 마을은 46가구가 전소되고 50여명의 주민이 희생됐다.
무등이왓 인근에 위치한 삼밭구석 마을은 46가구가 전소되고 50여명의 주민이 희생됐다.

연인들이 도로 한가운데서 손을 맞잡고 한가로이 거니는 풍경을 쉽게 엿볼 수 있었다. 그들의 수채화 같은 산보를 자동차가 방해하는 것이 못내 미안했다.

불카분낭 마을 진입로와 안길은 비좁다. 자동차가 없던 시절에 형성된 자연부락이다. 이곳을 방문하려면 차량을 마을밖에 주차하고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마음 편하다. <계속>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 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김형규 자전거여행가이다. 지난해 아들과 스페인 산티아고 자전거 순례를 다녀왔다. 이전에는 일본 후쿠오카-기타큐슈를 자전거로 왕복했다. 대전에서 땅끝마을까지 1박2일 라이딩을 하는 등 국내 여러 지역을 자전거로 투어하면서 역사문화여행기를 쓰고 있다. ▲280랠리 완주(2009년) ▲메리다컵 MTB마라톤 완주(2009, 2011, 2012년) ▲영남알프스랠리 완주(2010년) ▲박달재랠리 완주(2011년) ▲300랠리 완주(2012년) ▲백두대간 그란폰도 완주(2013년) ▲전 대전일보 기자

김형규
자전거여행가이다. 지난해 아들과 스페인 산티아고 자전거 순례를 다녀왔다. 이전에는 일본 후쿠오카-기타큐슈를 자전거로 왕복했다. 대전에서 땅끝마을까지 1박2일 라이딩을 하는 등 국내 여러 지역을 자전거로 투어하면서 역사문화여행기를 쓰고 있다.

▲280랠리 완주(2009년) ▲메리다컵 MTB마라톤 완주(2009, 2011, 2012년) ▲영남알프스랠리 완주(2010년) ▲박달재랠리 완주(2011년) ▲300랠리 완주(2012년) ▲백두대간 그란폰도 완주(2013년) ▲전 대전일보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kusenb 2018-12-31 13:15:37
삼진작전이라니... 사람이 사람한테 어떻게 저리 모질 수 있었을까요

진교영 2018-12-24 10:49:17
불에 탄 나무 불카분낭
죽은줄만 알았던 나무가 새싹이 다시돋아 살아나서 저리 아름다운 나무가 되었다니 신비하기 짝이없습니다 제주 민들도 불카분낭 처럼 아픈기억에 참혹한 사건에서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치유되고 행복해지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제주도에 자주 가보았지만 유명관장지나 먹거리여행이아닌 이번 여행기처럼 탐방을 다녀보는것도 의미있을듯 하네요.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0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다 01283
  • 등록일 : 2012-07-01
  • 발행일 : 2012-07-01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창간일 : 2012년 7월 1일
  • 굿모닝충청(인터넷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7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아00326
  • 등록일 : 2019-02-26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굿모닝충청.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mcc@goodmorningcc.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