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선미 편집위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이 10일 앞으로 다가왔다. 6‧1 지방선거는 정권 교체 후 치러지는 첫 전국단위 선거이다.
새정부 출범 이후 여당은 정권 안정, 야당은 정권 견제와 인물론을 내세우며 단 한 석이라도 더 얻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정권 교체 후 치러지는 첫 전국단위 선거, 충청권 최대 승부처로
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엇보다도 원내 다수 의석임에도 제1야당으로 지위가 바뀐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 우위를 점했던 17개 광역단체장의 향방에 전국적인 눈길이 쏠리고 있다.
광역단체장이 갖는 비중과 상징성, 민심의 향후 새정부의 국정운영에 끼칠 영향 때문이다.
6·1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 중 하나가 수도권과 더불어 대전‧충남‧충북‧세종 등 4곳 모두 민주당이 석권했던 충청권이다.
충청권은 초박빙 승부가 예상됨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과연 몇 석씩이나 차지할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대전시장 선거는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하기도 전부터 양측이 고소, 고발까지 이어지는 등 갈수록 험악스러워지고 있다.
고소 고발에 네거티브 판치는 대전시장 선거전, 과연 승자는?
대전은 민주당의 현 허태정 대전시장과 동구청장을 역임한 국민의힘 이장우 전 의원이 맞붙었다.
허 후보가 수성에 성공해 재임 시장이 될지, 이 후보가 다시 선출직 공직에 재기할지는 오롯이 대전 유권자들의 손에 달려 있다.
허 후보는 민선 5기, 6기 유청구청장을 2번 역임한 후 광역단체장 도전에 성공해 민선 7기 대전시 행정수장으로서 대전시정 4년을 이끌어 왔다. 이 후보는 민선 4기 동구청장 역임 후 제19대, 제20대 총선에서 당선, 재선 국회의원의 경력을 갖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적지 않은 시간인 12년간 선출직 공직에 몸담아 왔다. 기초단체장을 경험했다는 공통점도 있다.
허태정 이장우 맞대결, 10여년 동안 선출직 공직 기초단체장 역임 공통점

두 후보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공적 영역에서 활동한 만큼 그들이 그간 어떤 일을 했는지, 어떤 가치관과 철학을 가졌는지, 공과와 이력을 세세히 검증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후보들의 과거의 공적 행적을 통해 앞으로 대전시정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자질, 업무 능력, 업무 스타일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대전시 시정 방향을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후보들의 과거의 행적과 공과, 이력을 사실에 근거해 가감 없이 따져 보는 것은 대전시 행정수장을 뽑는데 가늠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과거 행적 통해 대전 미래를 결정할 자질, 업무 능력, 스타일 검증해야
지난 며칠 두 후보간 험하기 짝이 없는 한 상호 비방전이 지역정가를 달궜다. “무능했던 4년 vs 허무맹랑 공약” “전과자 vs 똥 묻은 개” “발가락 절단, 폭력‧선거법 위반 전과자” “대전시 퇴보, 공무원 월급도 주지 못한 재정파탄” “공약 베끼기 공방전” 등등.
여야 후보가 KBS TV토론에서 격돌하며 네거티브 공방이 격화되자 지역 언론들이 쏟아낸 기사 제목들이다.
상대 후보 측의 허태정 후보에 대한 최대 공격은 ‘무능’ 프레임이다. 대전시장 4년을 역임하는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이 대전을 퇴보시켰다는 지적이다.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지하철 2호선,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이 대표적인 예이다.
‘병역을 기피하기 위해 발가락을 잘랐다’는 논란도 다시금 불거졌다.
허 후보 무능 프레임, 지하철 2호선, 유성복합터미널, 발가락 절단 논란
허 후보측은 이 후보가 동구청장 시절 청사 신축 등 대규모 신축공사로 동구 재정을 파탄 냈다며 행정 능력 부재를 공격하고 있다. 대전시립의료원 부지에 지은 호화 신청사는 이 후보 최대 약점 중 하나다.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은 무리한 신축 청사 추진은 급기야 동구청을 공무원 월급도 제대로 주지 못할 정도로 빚더미에 오르게 하며 한동안 지자체의 호화청사와 혈세 낭비의 대표적 사례로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여기에 대선에서도 문제가 된 업무추진비와 관련 허위공문서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일로 공무원들은 징계를 받았다.
국회의원 시절 배우자 명의로 대전역 맞은편에 취득한 상가도 논란거리다. 오이이락인지 이후 이 지역은 대전역 관광활성화 사업과 관련 국비투입이 결정되면서 이해충돌 문제가 불거졌다.
이 후보 호화청사 강행 동구청 재정파탄, 허위공문서, 배우자 부동산 논란
선거는 불과 10일 앞으로 다가왔다. 제3의 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둘 중 누군가는 선택해야 한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차선의 선택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후보들의 과거 행적을 더 꼼꼼하게 깊이 따져볼 필요가 있다.
대전을 악몽의 도시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후보의 과거 행적과 이력은 대전시의 미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