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닥친 재난 때문에 찢어지게 가난할 때가 있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어머니가 학교 앞에서 점방을 운영하고 아이들은 비가 새는 비좁은 단칸 방에서 밥상을 펼쳐놓고 공부했던 시절이 있습니다.

일본 작가 구리 료헤이(栗 良平)의 《우동 한그릇》은 사고를 당한 가난한 가정에서 스스로 일어서는 과정을 조그만한 우동집 주인이 옆에서 지켜보면서 응원하고 배려하는 이야기입니다.
섣달 그믐날 아침부터 눈코 뜰 새없이 바빴던 작은 우동집 가게 북해정(北海亭)이 문 닫으려고 할 때 아주 남루한 차림의 세 모자가 들어옵니다. 여자는 우동집 안주인에게 조심스럽게 말합니다.
“저····, 우동 1인분 시켜도 될까요?”
그녀의 등 뒤로 열 두어살 보이는 소년과 동생인 듯한 소년이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서 있었습니다.
“아, 물론이죠. 이리 오세요.“
“우동 1인분이요!”
주인 아주머니가 주방의 남편분에게 외쳤습니다. 남편은 세 모자를 보고 얼른 끓는 물에 1.5인분을 넣었습니다. 이들 세 모자는 우동 한 그릇을 맛있게 나눠먹고 돈을 지불하고 나갔습니다. 두 부부는 그들 등 뒤에 대고 주인 부부가 외쳤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시 한 해가 흘러 섣달 그믐날이 되었습니다. 문을 닫을 때쯤 한 여자가 두 소년과 함께 들어와서 작년과 똑같이 우동 1인분을 시켰습니다. 안 주인은 그 여자가 입고 있던 체크무늬의 반코트를 보고 일 년 전 섣달 그믐날 마지막 손님들이라는 것을 알고서 부엌으로 들어와 남편에게 3인분을 넣자고 했습니다.
“아니야, 그럼 알아차리고 민망할 거야.”
남편이 1.5인분을 끓는 물에 넣었습니다.
“엄마, 올해도 북해정 우동을 먹을 수 있어 좋지요?
그래 내년에도 올 수 있다면 좋겠는데......”
다시 한 해가 흐르고, 밤 10시경 주인 부부는 메뉴판을 바꾸어 놓기에 바쁩니다. 올해 우동 한 그릇 값을 150엔에서 200엔으로 올렸으나 다시 150엔으로 바꾸어 놓고, 그들이 앉았던 2번 테이블에 예약석이라는 푯말을 올려놓았습니다.
10시 30분경, 그들이 예상한 대로 세 모자가 들어왔습니다.
“우동 2인분을 시켜도 될까요”
“물론입니다. 자, 이리 오세요.”
부인은 그들을 2번 탁자로 안내하고 예약석이라는 푯말을 치웠습니다. “우동 2인분이요!” 부인이 부엌 쪽으로 외치자 주인은 재빨리 3인분을 집어넣었습니다. 그들은 우동을 맛있게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너희에게 고맙구나. 네 아버지가 사고로 돌아가신 후 졌던 빚을 이제 다 갚았단다. 네가 신문배달을 해서 도와주고, 너는 살림을 도맡아서 일을 열심히 해준 덕분이다.”
십수 년이 흐르고 다시 섣달 그믐날이 되었습니다. 10시 30분 문이 열리고 정장을 한 청년 두 명이 들어왔습니다. 젊은이들 뒤에는 나이 든 아주머니가 깊숙이 허리 굽혀 인사하며 말했습니다.
“우동 3인분을 시킬 수 있을까요?
14년 전 저희는 우동 1인분을 시켜 먹기 위하여 이 집에 왔습니다. 1년의 마지막 날 먹는 이 맛있는 우동 한 그릇은 우리 가족에게 큰 희망과 행복였습니다.
이곳에서 외가가 있는 시가현으로 이사 가서 한동안 못 왔지만, 지난해 저는 의사고시에 합격했고, 동생은 은행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올해 저희 세 식구는 저희 일생에 가장 사치스러운 일을 하기로 했습니다. 북해정에서 우동 3인분을 시키는 일 말입니다.”
“네엣! 우동 3인분!”

주인 남편과 안주인은 목이 메고, 눈물을 닦으면서 매년 이만 때쯤 예약석 푯말이 있는 2번 탁자로 안내했습니다.
해피 엔딩입니다. 우동집 주인을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만약 주인이 한 해의 문 닫는 시간에 겨우 우동 한 그릇을 시키는 가난한 세 모자를 구박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돈이 없어 어렵게 시키는 가난한 가족들을 배려하는 북해정의 마음씨 좋은 사람들 덕분에 이 가정은 어려움을 딛고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
그냥 싸고 저렴한 한 끼 식사?
그보다 가족 전체가 행복을 만끽할 수 있는 아주 값진 식사라 생각 합니다.
그렇습니다.
지금 나에게 물 한 병, 빵 한 조각은 아무 것도 아닐수 있겠지만,
굶주리는 그 누구에게는 생명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누군가에게 희망과 행복을 줄 수 있는
우동 한 그릇과 같은 사람이 될 수 있길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