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지난 8월 24일 일본이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 투기를 강행하면서 그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곧 수산물 소비 급감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이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일본이 대마도에 핵폐기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해서 또 한 번 논란이 될 전망이다. 일본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핵연료 쓰레기를 모아서 땅에 묻는다는 것이다. 대마도의 최북단인 히타카츠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광역시와 직선거리로 겨우 49.5km(영도 태종대 기준)밖에 되지 않는다.
14일 MBC 보도에 따르면 대마도 시의회가 고준위 핵 폐기물 처리장 유치를 위한 1단계 조사 추진안을 통과시켰다고 한다. 일본 전역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 재처리 핵연료 찌꺼기를 땅에 묻는 사업인데, 현재 홋카이도 2곳과 대마도가 유치에 나섰다. 이 2곳은 일본에서도 다소 경제가 낙후된 지역에 속한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은 “대마도의 움직임 등을 통해 전국에서 이런 관심이 높아져서 이해가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고 했다. 매립 대상인 핵 찌꺼기는 강한 방사능을 내뿜는 고준위 핵폐기물로 알려졌다. 현재 일본 전역의 재처리 시설에 약 1만 9,000톤이 쌓여 있는데, 이를 유리와 섞어 고체 덩어리 2만 7,000개로 만들어 지하 300m 아래에 보관한다.
일본 정부는 1차 조사에 20억엔, 2차 조사에 70억엔 등 교부금을 내걸고, 낙후된 지역이 유치에 나서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마도 주민과 시민단체들은 반발하고 있다. 대마도 시민단체 소속 우에하라 마사유키 씨는 “대마도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는 대의명분은 이해하지만,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습니다.”고 했다.
한편, 일본 내부에서는 대마도가 본토와 달리 지진 발생이 드물어 핵폐기장으론 이상적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최종 결정권을 갖는 대마도 시장은 신중한 입장이다. 히타카쓰 나오키 대마도 시장은 “미래에 정말 안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을까요? 이것이 제가 가장 걱정하는 부분입니다.”고 했다.
대마도 경제를 살리기 위한 선택이라지만 대마도가 부산에서 불과 49.5km 떨어진 곳에 있는 만큼 이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도 논란이 예상된다. 대마도에 건설을 추진하는 핵폐기장은 고준위 핵 폐기물 처리장인데 이 고준위 핵 폐기물이 얼마나 위험한지 몸소 보여주는 곳이 있다.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에 있었던 카라차이 호라는 호수가 바로 고준위 핵 폐기물의 위험성을 몸소 경고하고 있는 호수다. 구 소련은 마야크 재처리 공장에서 발생한 고준위 핵 폐기물을 처리할 방사능 처리장 건설 비용이 아깝다는 이유로 겉으로 봐선 다른 강과 통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카라차이 호에다 그 폐기물들을 버렸다.
이 카라차이 호에 버려진 방사능 폐기물의 양은 총 444경 베크렐인데 이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로 인해 방출된 방사능 양(37경 베크렐)의 10배도 넘는 수치다. 이후 소련이 붕괴되면서 호수를 정화하려 시도했으나 애초부터 정화는 불가능했고 결국 콘크리트와 자갈을 잔뜩 부어서 호수를 묻어버렸다. 그만큼 고준위 핵 폐기물은 상당히 위험하다.
대마도는 산림이 우거진 곳이어서 본래부터 농업이 빈약했고 어업과 관광업으로 연명하던 곳이었다. 그런 곳에 핵폐기장을 건설할 경우 당연히 어업과 관광업에 막대한 타격이 갈 수밖에 없다. 부산 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관계자 또한 14일 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시민의 목소리는 배제하고 예산 따오기를 하는 것"이라며 "2만 8,000명의 대마도 주민이 어업과 관광업 타격을 우려하며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는데 인접한 대마도에 핵폐기장을 건설하는 것은 일본의 환경폭력"이라며 "50km밖에 떨어지지 않은 이웃국가를 고려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즉, 일본이 주변국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이 환경 오염을 자행하고 있다는 뜻이다.

일본 내부에서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오카모토 다카시 도쿄대 교수는 "고준위 핵폐기물은 일반 시민이 알기 어려운 문제"라며 "소문 때문에 입는 피해를 고려해서라도 정부와 대마도 주민들간의 양방향 소통이 필요하다"고 관련 보도에 댓글을 남겼다. 이어 그는 "일본에도 안정적인 지층이 많다"며 "핵폐기물을 인간이나 생물의 생활권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미래 세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본의 시민단체들은 "풍요로운 자연을 자랑하는 대마도에 핵 쓰레기는 필요 없다", "진짜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 있느냐"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한 누리꾼도 "미래를 생각하면 결코 현명한 결단이 아니다"며 "미래 세대에 영향을 미칠 핵 쓰레기가 만들어지는데, 어느 지역이 그걸 받고 싶겠느냐"고 동조했다.
이제 대마도 시장의 최종 결정만이 남았는데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지금이라도 당장 일본을 향해 항의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미명 하에 일본에 이상할 정도로 저자세 굴욕 외교를 했다. 지난 달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 투기에 대해서도 항의는커녕 같이 동조하는 추태를 부렸다.
심지어는 국가 예산을 써서 후쿠시마 핵오염수 홍보 영상까지 제작했다. 그런 윤석열 정부가 일본이 대마도에 건설하고자 하는 핵폐기장 추진 계획을 저지시킬 외교적 역량이 있는지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일본 총리가 아직 오더를 안내려서 그런가 봅니다.
오더 내리면 바로 찬성으로 바뀌겠죠.
아니면 부산에 유치하겠다고 앞장설 수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