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2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내홍이 점점 격화되고 있다. 22일 열린 최고위원회의는 집단 배신을 한 비명계 의원들을 성토하는 자리가 되었다. 최고위원들은 비명계 의원들의 집단 배신 행위를 ‘해당행위’로 규정하고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는데 사실상 비명계들을 숙청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 날 최고위는 병상에서 단식을 23일째 이어가고 있는 이재명 대표와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 박광온 원내대표가 빠진 채 열렸다. 비명계로 분류되는 송갑석 최고위원도 불참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같은 당 의원들이 자기 당 대표를 팔아먹었다. 적과의 동침"이라며 "윤석열 검찰독재 정권의 정적 제거·야당 탄압 공작에 놀아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해당행위다.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즉, 비명계 의원들이 이재명 대표를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 정치 검찰에 팔아먹은 내부의 적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아울러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페이스북에 이어 이 자리에서도 밝힌 점을 볼 때 집단 배신을 저지른 비명계 의원들을 숙청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정청래 최고위원은 "시기적으로 보면 공교로운 것도 아니고 우연의 일치도 아니다. 총선을 앞두고 벌어지는 볼썽사나운 구태 정치가 재현된 것"이라며 체포동의안 가결 투표를 총선 공천 등 개인의 사적이득을 위한 일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끊임없이 이 대표를 흔들겠지만, 이재명 지도부는 끝까지 흔들림 없이 이 대표 곁을 지키겠다"며 "누구 좋으라고, 이 대표의 사퇴는 없다. 이 대표 체제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승리하고 총선 승리를 위해 일로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 최고위원은 "후임 원내대표를 가장 빠른 시일 안에 가급적 추석연휴 전에 선출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지도부 공백을 최단시간에 최소화하고 (어제 사의를 표명한) 당의 정무직 당직자도 조속히 안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재명 대표와 의논하여 빨리 결정하겠다"며 "소수의 음모와 횡포, 탈선으로 잠시 당이 혼란스럽지만 빛의 속도로 당을 정상화시키겠다"고 말했다.

다른 최고위원들도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탄핵하고 희희낙락했던 자들의 최후를 벌써 잊은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같은 당 의원 일부의 체포동의안 가결 투표를 "배신과 협잡의 정치"라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모든 행위엔 책임이 따르기 마련이다. 익명의 그늘에 숨는다고 그 책임이 사라지지 않는다"며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져야 할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영교 최고위원 또한 "검찰독재 윤석열 정권의 의도에, 국민의힘의 의도에 우리 당 의원들이 올라탔다.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체포동의안 가결 투표에는) 이 대표에 대한 2선 후퇴를 요구하는 내용도 같이 들어 있단 말을 듣고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어제는 이재명 대표를 탄핵할 것이란 말까지 있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저희들은 해당행위라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산진구청장 출신의 서은숙 최고위원은 "일제식민지 시절 동포를 탄압한 친일파들이 권력의 사랑을 받았듯 윤석열 검사독재 시절엔 자기 당과 동지를 모욕하고 공격하는 분들이 언론·방송 특수를 누리고 있다. (이들이) 그동안 의원들이 인내하고 참은 걸 헤아리긴커녕 민주당에 폭탄을 던졌다"며 "그래서 배신자와 독재부역자들이 암적 존재인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그는 "당의 결의와 동지와의 약속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았다. 말로는 당을 위한다고 외치지만 포장지만 벗기면 잇속 챙기기만 가득하다"며 "자신의 해당 행위를 공개하고 큰 소리를 친 내부의 적부터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배신자 비명계 의원들을 당 내에서 숙청하겠다는 의사를 강하게 밝힌 셈이다.
한편 MBC 라디오 프로그램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비명계 의원들 상당 수는 표결 직후에 열렸던 의총에 불참했다고 전했다. 또 집단 배신을 한 비명계 의원들을 향해 “가결파들은 당내 민주주의를 그동안에 얘기하면서 책임에 대한 얘기를 해왔는데 저는 가장 큰 문제예요. 이게. 당내 민주주의를 외쳤던 분들이 민주주의의 절차적 과정을 훼손했다.”고 직격했다.
또 더불어민주당의 혁신기구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에서도 표결 직후 논평을 내어 “국회가 정답을 내지 못한 것을 개탄한다. 불체포원칙. 무죄추정원칙, 행정부의 폭주에 대한 방어권으로서 정립된 불체포권한. 이 모두를 무시한 의회결정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민주당 일부 의원에 대해 큰 실망을 표한다. 노골적인 야당탄압에 저항하지 않은 것은 민주당 의원으로서 자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비명계들의 집단 배신은 레거시 미디어들이 덧씌워 놓은 ‘방탄 국회’ 프레임이란 함정을 피한다고 결국 당을 분열로 몰고 간 셈이 됐다. 최소 29표, 최대 39표로 추정되는 이 반란표를 행사한 비명계 의원들 대다수는 떳떳하게 나서지도 못하고 뒤로 숨어 있다.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이 본인의 소신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당당함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것도 없다.
능력도 없고 정무감각도 없고 의리도 없는데다 용기도 없으면서 왜 이런 엄청난 핵폭탄을 터뜨리고 간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비명계 의원들은 이재명 대표 체제를 전복시키고 비상대책위원회를 수립해 단수 공천을 받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데 과연 그들이 그린 그림대로 흘러갈지 아니면 도중에 도화지가 찢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