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오는 10월 11일 실시될 서울 강서구청장 재보궐선거가 재작년 4월의 서울특별시장,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만큼 판이 커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국민의힘 김태우 후보가 재보궐선거로 인해 발생한 40억 원이란 비용을 ‘애교’라고 표현해 논란이 되고 있다. 안 그래도 본인의 귀책사유로 발생한 재보궐선거에 본인이 그대로 재출마해 논란이 큰 상황인데 이로 인해 여론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발생하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 28일 있었던 국민의힘 김태우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에서 있었던 발언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김 후보는 "지금 이 보궐선거 하게 된 것을 가지고 민주당 쪽에서 많은 공격을 하고 있다"며 "저로 인한 재판 때문에 다시 보궐선거를 하게 된 점에 대해서는 제가 그동안 무수하게 사과를 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그 40억은 제가 1,000억 넘게, 1년에 1,000억, 4년 동안 4,000억 넘게 벌어들이기 위한 수수료 정도로 애교 있게 봐주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는데 이 발언이 논란을 빚었다. 자신의 귀책사유로 인해 재보궐선거를 치르게 됐고 그 발생비용이 40억 원인데 그걸 자신의 미래 성과를 위한 수수료로 애교 있게 봐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런 김태우 후보의 몰지각한 발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패륜적 오만방자함이 하늘을 찌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30일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강서구에 지역구가 있는 강선우 대변인(서울 강서구 갑)이 직접 브리핑에 나서며 김태우 후보를 비판했다.
강 대변인은 “어차피 안 될 선거, 막 나가기로 작정한 것이냐?”면서 “강서주민은 지역발전을 위한 '일꾼'을 뽑으려면, '수십억의 추가 수수료'를 내야 하느냐. 선출직 공직자를 뽑는 자리에서 어떻게 이런 무개념 막말을 할 수 있단 말이냐?”고 김태우 후보를 강하게 비판했다.
또 강선우 대변인은 “지자체장이 지자체 살림을 잘 꾸려나가는 것은 주민들에게 '생색낼 치적'이 아니라 '당연한 책무'이다.”고 지적하며 “그런데 김태우 후보는 구청장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 40억의 혈세 낭비를 눈감아 달라고 말하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의 본질은, 강서 발전을 위한 한 몸 내던질 인물을 뽑아야 하는 '일꾼론'과 윤석열 정권의 폭주를 심판해야 한다는 '심판론'에 있다"고 했다. 강선우 대변인은 "'특혜사면', '하명공천', '40억 혈세 낭비'에도 뻔뻔하게 표를 달라는 김태우 후보와 국민의힘이 과연 강서구민을 위해 제대로 일하겠느냐"며 "김태우 후보와 국민의힘은 지금이라도 선거유세 대신 석고대죄하라"고 촉구했다.
이런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 국민의힘은 2021년 서울특별시장, 부산광역시장 재보궐선거를 거론하며 반박하고 나섰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보궐선거 귀책사유를 운운할 자격이나 되는지 스스로 자문해 보라고 받아쳤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김태우 후보의 구청장직을 상실시킨 사법부의 판결을 비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국민의힘 신주호 상근 부대변인은 오늘 논평을 통해 "연일 김태우 후보가 마치 범죄자라도 되는 양 호도하지만, 이번 보궐선거는 정치화된 사법부를 이끈 김명수 대법원의 정의와 상식을 외면한 정치적 판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또 신 상근 부대변인은 박원순·오거돈 전 시장들의 성 비위로 인해 치러야 했던 2021년 4·7 재보궐 선거를 잊었냐면서 "자당의 성 비위로 발생한 보궐선거에서 후보를 낸 것은 시민의 뜻을 받드는 것이기라도 했다는 말인가"라고 민주당을 비난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강서구의 낭비되는 예산을 꼼꼼히 살펴 1,057억을 아낀 김 후보의 지난 1년의 구정에 대해 차마 칭찬은 못 하겠다면 최소한 비아냥거려서는 안 될 것"이라며 "지난 12년, 민주당의 강서 구정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 자신의 잘못부터 되돌아봐야 한다"고 비난했다.
국민의힘 김웅 의원 또한 30일 본인 페이스북에서 김태우 후보의 발언에 대해 "매우 부적절하고 무책임한 표현"이라면서도 "세상 사람들이 다 비난해도 민주당은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민주당을 걸고 넘어졌다. 그는 "2021년 서울시장, 부산시장 재보궐선거는 왜 하게 됐느냐. 민주당 소속 시장들이 성범죄 저질러서 하게 된 것 아니냐"며 "그때 민주당은 어땠나. 성범죄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고 공격하지 않았나"라고 비난했다.
이어 "절차를 어겨가며 당헌을 바꿔 서울시장, 부산시장 후보를 내지 않았나. 그러면서 사과 한마디라도 제대로 했느냐"고 했다. 또 덧붙여서 김 의원은 "2021년 보궐선거 때 민주당 탓으로 하게 된 선거 비용은 858억 원"이라며 "40억 원이 애교가 아니면 858억 원은 더더욱 아니다. 가랑잎이 솔잎보고 버스럭거린다고 욕하는 꼴"이라고 비난했다.
김태우 후보는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감찰 무마 의혹을 폭로했던 인물인데 이로 인해 공무상기밀누설죄로 기소되었다. 김태우 후보는 자신의 폭로가 ‘공익제보’라고 했지만 사법부는 1심부터 3심까지 한결 같이 “폭로 동기나 목적에 대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하며 “김 구청장이 국민권익위원회 신고나 검찰 고발 등의 절차를 알고 있었음에도 객관적 사실에 추측을 더해 언론에 제보함으로써 논란을 증폭시킨 점에 비춰보면 죄책이 가볍지 않다.”고 했다.
즉, 1심부터 3심까지 쭉 김태우 후보가 공익제보자가 아니라고 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사법부의 판단을 무시하고 김명수 대법원장의 성향을 물고 늘어지며 김태우 후보를 ‘공익제보자’라고 우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