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종현 기자] 충남교육청이 16억 원 규모의 산소발생기 설치사업을 사무관 출신 퇴직 공무원 업체에 밀어줬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예상된다.
충남도의회 교육위원회 홍성현 의원(국민·천안1)은 20일 교육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본청과 지원청, 직속기관을 비롯해 일선 학교 211곳의 산소발생기 407대 중 71.5%(147대)는 특정 업체가 설치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산소발생기는 공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과 질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고농축시켜 실내에 발생시키는 전기기기로, 코로나19 이후 설치가 본격 시작됐다.
대당 단가는 대부분 350만 원으로 책정됐다. 설치이유는 급식종사의 근무환경개선 등이다.
문제는 특정 업체가 산소발생기 설치를 독점했다는 것.
설치 예정인 7개 기관(11대)를 제외하면 나머지를 5개 업체가 설치했는데, 이 중 A업체의 비율이 71.5%에 달한다. 금액으로 따지면 전체 16억1140억 원 중 10억2000만 원이다.
홍 의원은 “이 업체는 과거 교육청에서 근무한 사무관 출신이 하는 곳”이라며 “해당 업체를 도와주려고 한 게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산소발생기가 검증 없이 설치된 점도 문제 삼았다. 홍 의원은 “급식실 종사자들에게 확인해보니 그분들도 효과를 느끼지 못한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보령시 소재 해양수련원의 경우 창문을 열어두면 산소가 발생하는데 굳이 설치할 필요가 있냐?”고 강조했다.
교육청이 산소발생기를 설치한 뒤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은 점도 거론했다. 실제로 407대 중 필터 교체 등 점검이 이뤄진 곳은 20개 기관에 불과했다.
홍 의원은 “천안시 소재 학생교육문화원은 설치한 지 3년 됐는데 점검은 한 번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전형적인 예산 낭비다. 왜 이렇게 하는지 모르겠다. 이해가 안 된다”고 개탄했다.
“산소발생기는 검증이 되지 않은 제품이다. 특히 직속기관에는 설치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김현기 기획국장은 “(검증은) 조달청 나라장터에 올라온 것을 토대로 제품을 구매한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