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세금 수십억 원을 들여 구입한 대전시 '보도용 스마트 제설기(이하 스마트 제설기)'가 대전시의회(의장 이상래)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정작 눈이 내려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데다 안전 문제부터 입찰 과정까지 의아스러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라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20일 대전시의회 제274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김선광 의원(국민·중구2)은 시정질문을 통해 “스마트 제설기가 전시용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21년도 스마트 제설기 도입 계획을 수립, 지역 5개 자치구에 37억 원의 예산을 들여 107대를 구매했다.
문제는 이용 실적이 저조하다는 점인데, 중구의 경우 지난 2년간 단 한 번도 스마트 제설기를 운영하지 않았다.
각 구별 스마트 제설기 교육 실시 현황도 저조한 편이다. 지난 2년간 동구 1회, 중구 3회, 서구 2회, 유성구 1회, 대덕구 3회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난 것. 뿐만 아니라 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직원이 안전장비도 착용하지 않는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작동법이 쉽지 않은 데다, 서구에서 도입된 1개 모델을 제외하고는 브레이크가 없어 경사진 곳에서 사용할 수 없다. 직원들은 스마트 제설기를 사용할 시 죽을 수도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사정이 이렇다 보니 스마트 제설기는 창고나 주차장 한구석에 방치돼 있다”고 지적했다.
입찰 과정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김 의원은 “서구에 2개 모델을 조달한 업체를 제외하고는 특정 업체가 스마트 제설기를 보급하고 있다”고 의구심을 드러냈다.
답변에 나선 정신영 교통건설국장은 “일부 문제는 있지만, 조달청을 통해 정상적인 입찰 방식으로 스마트 제설기를 구입했으며 제설효과도 우수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이장우 시장의 생각은 달랐다.
이 시장은 “교통건설국장의 설명이 아주 부적절하다”며 “구입과정에서부터 기계 성능까지 철저히 감사하도록 지시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