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의 눈] 가야산 산신제의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
[시민기자의 눈] 가야산 산신제의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
  • 이기웅
  • 승인 2017.06.20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굿모닝충청 이기웅 예산시민기자] 정월 대보름 상가리의 미륵불공원은 사람들로 가득했다. 새봄 가야산은 산신에 산신제(山神祭)를 올리며 작은 축제들이 시작된다. 축제는 의미 전달과 소통의 극대화에 그 가치가 있다.

옛 사람들은 제를 통해 마을의 염원을 하늘에 알리면서, 신과 소통을 통해 마을의 단결과 갈등 해소를 염원하기 위해 제를 지냈다고 했다.

내포의 진산(鎭山) 가야산은 신라가 국가 차원에서 치제되었던 명산으로 문헌자료에서 볼 수 있듯 역사성 확인할 수 있다.

통일신라와 조선 초기부터 국왕이 임명한 관리가 제를 주재해 춘추로 국행의 예로써 치제를 받았다.

석문담우소(산신당기우제)

 

가야산 산신제의 연원을 삼국유사를 통해서 유래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원형은 헌종태실 근처의 신당(神堂)과 와룡담(臥龍潭) 석문당우소(石門潭雩所)에서 드리던 치성에서 기인된 것이며 천년이 넘는 전통으로 통일신라부터 이어진다.

신라는 통일 후 전국의 산천을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 3등급으로 나눠 숭배한다.

옛 백제 지역의 산천인 가야산(伽耶山)은 671년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며 반신라적 감정을 완화시키려는 목적과 백제 유민들을 회유하려 한 것으로 신라의 4진(四鎭)중 서진(西鎭)으로 삼고 중사(中祀)를 지낸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81~1486)>에 서진 가야갑악(加耶岬岳)이라고 추측되는 가야산이 덕산현의 서쪽 41리에, 가야갑악을 제사하던 가야갑사(伽耶岬祠)가 덕산현의 서쪽 3리에 있었다고 기록 한다.

조선시대 때에는 가야산에 소재관(所在官)을 보내 봄과 가을에 제사 지내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한국 민속신앙 사전’은 와룡담과 석문담, 남전, 새터말, 관음전 산신각과 가야산에 신당을 세우고 술과 고기를 갖춰 신에게 치성을 드렸다고 기록 한다.

가야산의 예산권 중심 마을인 상가리와 옥계리는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이전에는 가야동(伽倻洞) 또는 가동(伽洞)으로 불리는 곳이었다.

조선시대 후기까지 가동은 산신의 전통이 이어져 오던 곳으로 40년 전까지 마을에 11곳 이상의 산신각과 당이 있었다.

마을에서 대동산신제가 벌어진 곳은 동구말 미륵불 옆 길흉 점치던 참나무가 있는 ‘중(僧)의 산제당’으로 스님이 절을 짓고 산신에 치성드리는 제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곳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 정부의 독가촌 폐쇄 정책으로 산신각이 철거되고 상수리나무만 신목이 돼 남아 있다.

산신제 전통은 1970년대 이전에는 매년 정월에 산신제를 지내왔으나, 마을 4곳에 있던 산신당의 헐려 사라지게 되며 퇴락(頹落)하자 제례의식이 중단된다.

상수리 나무가 산제당을 호위하듯 지키고 치성을 드리던 당집은 사라지고 가야산의 옛사람들이 간절한 염원 담아 손 모아 기도하던 당나무가 돼 그 터를 지키고 있다.

가야산에 있었던 산신각과 마을제는 다음과 같다.

▲ 신라 때부터 사진중 가야산을 서진으로 삼아 봄 가을로 치제 ▲미륵불(산신각) 정월과 시월에 좋은 날을 정해서 대동 산제 치성 ▲2월 14일 서낭당에서 드린 서낭제. 이를 ‘홍수맥이’, ‘횡수맥이’ 라고 불림 ▲10월17일 관음전의 대동 산제 ▲샘제 아랫 남전의 가정신앙 정초에 가정에서 지냈다.(이필영,한국민속신앙사전) ▲1월14일 횡수맥이 삼재풀이 굿. ▲와룡담, 석문담 현감의 기우제 ▲동토잡이

가야산 상가리와 옥계리 산신각 터
▲옥계저수지 산중턱 (각) ▲저수지 위쪽 옥계리 (각) ▲가야산 바삭골 개인집 산신각 ▲사태말 산신바위 ▲한씨 산신암 ▲동구말 산신당 ▲관음전 산신각 ▲남전 산신각 ▲아랫남전 ▲신통골 신당

위의 자료와 같이 가야산 사람들은 우리 조상들이 믿고 의지했던 신앙의 대상들이 모두 등장하는 셈이다

정초부터 시작되는 가야산의 굿과 산신제는 타 지역과 차별화되는 귀한 문화적 자원이다. 잘 활용하면 그 이상의 디자인은 없을 것이다.

신들의 보살핌으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자 했던 가야산 옛 사람들의 간절함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인 자산이다.

역사성과 구비성을 갖춘 가야산 사람들의 이야기는 지역을 부양할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했으면 한다. 문화로 사람을 부르고 관광으로 지역을 팔 수 있겠다.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상품으로 개발하면 여행객은 허허벌판이라도 즐거워할 것이다. 최근 여행의 트렌트는 문화관광이기 때문이다.

세계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글로벌 행사로 성장한 강릉단오제나 계룡산 산신제가 시사하는 바가 결코 적지 않다

한국의 산신 문화는 창조적이고 경쟁력 있는 신비로운 문화상품이다. 한국인은 스스로 산악문화가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고 산신을 30년간 연구하는 데이비드 메이슨 교수는 주장한다.

역사성과 구비성을 갖춘 가야산의 산신제가 소멸해가며 주민들은 아쉬워한다.

이기웅 예산시민기자

2017 새봄 주민들이 마을의 대표적인 전통을 이어가자는데 뜻을 모아 숙의한 끝에 내년부터 산신제를 다시 지내기로 결정했으며,  가야산의 전통은 문화재청과 지자체의 도움으로 부활될 예정이다.

역사성과 접근성 지속가능성 활용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준비하는 2018년 정초의 산신제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0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다 01283
  • 등록일 : 2012-07-01
  • 발행일 : 2012-07-01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창간일 : 2012년 7월 1일
  • 굿모닝충청(인터넷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7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아00326
  • 등록일 : 2019-02-26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굿모닝충청.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mcc@goodmorningcc.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