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서 1970년대생 시장·군수 나올까?

황천순, 김동일, 김기재, 홍기후, 조동준 등 도전…당내 경선 첫 관문 전망

2022-02-01     김갑수 기자
6월

[굿모닝충청 김갑수 기자] 얼마 전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586 용퇴론’이 고개를 든 바 있다. 김종민 국회의원(논산·계룡·금산)의 페이스북 글이 발단이 됐는데 정작 당 내에서는 별다른 공감대를 얻지는 못하는 분위기다.

이른바 ‘민주화운동 세대’가 정치권의 중심축이 된지 오래고, 그 이면에는 이미 기득권화 돼 있다는 반성이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는 6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970년대생 정치인들이 잇따라 시장·군수 선거에 도전할 움직임을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충남지역 15명의 시장·군수 중 최연소는 1968년생인 맹정호 서산시장이었는데 이 기록을 누가 깰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기대를 모으고 있는 주인공은 천안시의회 황천순 의장과 충남도의회 김동일 의원(민주, 공주1), 당진시의회 김기재 의원, 충남도의회 홍기후 의원(민주, 당진1), 서천군의회 조동준 의원 등이다.

모두 민주당 소속으로, 풀뿌리 민주주의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서 경험 쌓은 5인방 충남 시장‧군수 도전장

1973년생인 황천순 의장은 양승조 충남지사의 최측근으로 통한다. 양 지사의 국회의원 시절 비서관과 보좌관을 지냈다. 20여일의 단식 끝에 국회 본회의장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를 상대로 대정부질문을 통해 세종시 원안 추진을 촉구했을 당시 양 지사의 휠체어를 민 장본인이기도 하다.

황 의장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12년 동안 의정활동을 했지만, 그 한계를 통감하고 자치분권을 실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며 천안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1972년생인 김동일 도의원은 재선 공주시의원 등을 지냈으며, 도의회에 입성한 뒤 전반기 교육위원회와 후반기 복지환경위원회에서 전문성을 발휘해 왔다. 현재는 도의회 정책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 도의원은 지난 달 17일 유튜브를 통해 “누구도 소외 받지 않고, 모두가 행복한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공주시장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도의원은 오는 12일 공주대 백제교육문화관에서 출판기념회를 가질 예정이다.

비록

김홍장 시장이 일찌감치 3선 불출마를 선언한 당진시장 선거에는 1974년생 동갑내기인 김기재 시의원과 홍기후 도의원이 공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전반기 의장을 지낸 김기재 시의원은 원만한 의회 운영과 집행부에 대한 합리적인 견제 등으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지난 2019년 12월에는 도계(道界)분쟁지역인 서부두 매립지 현장에서 본회의를 열어 결사항전의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치열한 당내 경선 첫 관문 전망…배출 시 상당한 변화 예고

당진청년회의소(JC) 회장과 초선 당진시의원 등을 지낸 홍기후 도의원은 후반기 운영위원장을 맡아 안정적인 의회 운영에 일조하고 있다. 오는 19일(잠정) 출판기념회도 예고하고 있다. 민주당 어기구 국회의원(당진)의 측면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 실제로 그런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74년생인 조동준 군의원도 일찌감치 서천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표밭 갈이에 나선 상태다.

전반기 의장을 지낸 조 군의원은 지난 달 15일 서천문예의전당에서 ‘행복한 전환-서천 다시보기’ 출판기념회를 갖고 “기회가 주어진다면 서천에서 농어촌 기본소득 모델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일찍부터 이재명 후보를 도왔다는 점에서, 3월 9일 치러지는 대선 결과가 조 군의원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만 이들 모두 만만치 않은 당내 경선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생환 여부를 속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이미 충남지역 11명의 국회의원 중에서는 1973년생인 민주당 이정문 의원(천안병)과 강훈식 의원(아산을)이 배출된 상태라는 점에서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비록 생물학적인 나이가 젊다는 것이 반드시 사고의 유연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1970년대생 시장·군수가 배출될 경우 충남지역 풀뿌리 민주주의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