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박이’ 대전역세권-소제지구, 연계효과 낼까?

역세권 민자 유치 시, 사업성 높아지지만 지가도 상승… LH 행보 주목

2018-07-19     이정민 기자

[굿모닝충청 이정민 기자] 코레일이 대전역세권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히면서 인접한 소제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이하 소제지구)도 덩달아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대전역세권이 개발되면서 대규모 유통시설이 들어서게 되면 소제지구 사업성이 크게 오를 것으로 분석되면서 소제지구에 대한 기대감이 오르고 있다.

반면 천정부지로 오르게 될 땅 값이 소제지구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다음 달부터 민자 유치 절차에 들어간 코레일은 올 11월 역세권 개발 복합 2구역의 사업자 공모 공고를 낼 예정이다. 

복합 2구역은 소제지구 앞 대전역 동광장(동구 소제동) 일원으로 계획돼 있다.

소제동은 대전에서 가장 낙후된 곳으로 손꼽힌다. 노후화된 주택이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하며 상당수 주민들도 이곳을 떠나 을씨년스러운 분위기가 난다. 

대전역 주변 개발 12년 째 답보

소제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지난 2006년부터 추진됐다. 

소제동 일원의 오래된 주택을 허물고 4038가구의 대규모 공동주택을 건립하는 게 목표다. LH가 2007년 사업시행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LH 고심이 커졌다. 여기에 부족한 기반시설과 송자고택 등 문화재에 따른 건축규제도 적용돼 LH가 선뜻 사업 추진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무려 12년 째 제자리 걸음이다. 

역세권 개발도 상황은 비슷하다. 

2006년부터 추진된 역세권 개발 사업은 소제동을 비롯해 원동, 대동, 성남동 등 낙후된 대전역 주변을 민자 유치를 통해 개발하는 게 주 내용이다. 이곳에는 상업, 업무, 컨벤션 시설과 교통환승센터 도입이 예정됐다. 

사업 주체인 코레일은 지난 2008년과 2015년 두 차례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섰지만 응모한 기업이 없었다. 열악한 기반시설 등이 원인으로 손꼽힌다. 역세권 개발 사업 역시 12년째 제자리걸음이다. 

'분양성 상승' 긍정-‘지가 올라 부담’ 부정 

이런 상황에서 코레일이 삼수 끝에 사업자를 찾을 경우 소제지구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민자 유치로 대전역 동광장에 대규모 유통시설 등이 들어선다면 소제지구의 사업성이 올라간다. 분양 성공을 예견한 LH가 사업에 뛰어들 것이라는 예측이다. 

긍정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주변 개발로 소제지구 지가가 오를 수 있다는 것. 초기투자비용에 민감한 LH 입장에선 달갑지 않은 전개다. 

소제지구는 낙후된 지역임에도 사업 부지가 넓어 추정 사업비가 무려 1조 6000억 원이다. 지가마저도 오른다면 LH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역세권 개발 민자 유치부터”

이런 예측은 역세권 개발 사업자가 나타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사업의 발목을 잡았던 부족한 기반시설은 각종 도로개설로 상황이 좋아졌다. 또 걸림돌이었던 주변 상인과의 상생 방안은 지난 18일 대전시, 코레일 등 유관기관과 지역상인회의 상생협력 체결로 해소됐다. 

하지만 역세권 개발은 사업비만 1조원이 넘어 사업자가 나타나기엔 힘들 것이라는 비관론도 나온다. 

소제지구 사업 역시 가시화가 불투명하다. 건축규제의 주범인 송자고택 이전을 두고 이 고택의 소유주는 이전을 탐탁지 않아 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동구 관계자는 소제지구와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해 LH와 끊임없이 접촉하고 있다. 또 송자고택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전시 관계자는 “역세권 개발의 파급효과를 주목하고 있다. 일단은 역세권 개발의 사업자가 먼저 나타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