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규의 자전거 역사문화기행] 일장기 ‘히노마루’ 태극기로 둔갑
[김형규의 자전거 역사문화기행] 일장기 ‘히노마루’ 태극기로 둔갑
화해와 평화의 땅 제주도 ⑨ 낙선동
  • 김형규 자전거 여행가
  • 승인 2019.02.19 10:08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낙선동 4.3성 입구에서 내부를 바라본 전경.
낙선동 4.3성 입구에서 내부를 바라본 전경.

[굿모닝충청 김형규 자전거여행가] 관광객이 많이 찾는 함덕해수욕장에서 남쪽 중산간 방면으로 북선로를 따라 10리쯤 내려가면 선흘리 마을어귀에 난데없이 성곽이 눈에 들어온다. 오랑캐나 왜구에 대비한 방어선이라면 산악지형이나 해안선에 구축해야 타당하지만 그런 용도는 아닌듯하다. 축조 형태로 봐선 기존의 성벽터를 복원한 듯하다.

제주 4.3사건 유적 설명에 따르면 이곳 선흘리 낙선동 4.3성(城)은 방어용이 아닌 수용시설이다.

1948년 11월 초토화작전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선흘리 주민들은 자연동굴이나 들판에 움막을 짓고 숨어살다 무장대로 오인돼 다수가 희생됐다. 근근이 살아남은 주민들은 이듬해 봄 강제노역으로 낙선동에 성을 쌓고 집단 거주했다. 미군정은 초토화작전으로 집을 잃은 제주도민들이 무장대로 합류하지 못하거나 연결책 노릇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해야 했다. 거처를 잃은 주민들을 감시하기 위해 제주도 곳곳에 낙선동과 같은 성을 쌓았다.

낙선동 성의 규모는 가로 150m, 세로 100m, 높이 3m, 폭 1m의 직사각형 모양이다. 성밖은 너비 2m, 깊이 2m의 도랑에 가시덤불을 놓아 무장대의 침입을 막았다.

성이 완공되자 잠만 겨우 잘 수 있는 함바를 짓고 집단생활에 들어갔다. 성밖 출입은 통행증을 받아야 가능했고 야간통행은 금지였다. 대소변은 엉덩이만 겨우 가릴 수 있는 높이로 돌담을 쌓아 해결했다. 

낙선동 4.3성 내부. 앞에 보이는 초가집이 숙소인 ‘함바’다. 함바는 보통 건설현장 식당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가건물로 통했다.
낙선동 4.3성 내부. 앞에 보이는 초가집이 숙소인 ‘함바’다. 함바는 보통 건설현장 식당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가건물로 통했다.
성벽밖 해자. 너비·깊이 각각 2m크기로 땅을 파 가시덤불을 넣어 내부 탈출과 외부침입을 막았다.
성벽밖 해자. 너비·깊이 각각 2m크기로 땅을 파 가시덤불을 넣어 내부 탈출과 외부침입을 막았다.
수용자들을 감시통제하기 위한 경찰지서.
수용자들을 감시통제하기 위한 경찰지서.

남자들이 상당수 희생되고 그나마 살아남은 청년들은 6․25 때 대부분 자원입대했기 때문에 성을 지키는 보초는 16살 이상의 여성과 노약자의 몫이었다. 그들은 낮엔 밭에서 일하고 밤엔 성을 지키는 고단한 생활을 이어갔다. 주둔 경찰의 먹을거리까지 조달하느라 고초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선흘리 주민 250세대는 5년간 이곳에서 생활했다. 돌을 쌓고 군데군데 기둥을 박은 위에 새(띠풀)를 덮은 함바에서 노예처럼 잠을 잤다. 건설현장식당으로 알려진 ‘함바’는 일제 강점기에는 가건물로 통했다.

선흘리 주민들은 1956년 통행 제한이 풀리면서 원래 터전으로 되돌아갈 수 있었다.

낙선동성은 4․3 당시 축조된 성 가운데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유적이다. 오랜 동안 훼손에도 불구하고 원형을 되찾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2007년 복원됐다.

보초대기소. 주민들은 낮엔 밭에서 일하고 밤에는 보초를 서야했다.
보초대기소. 주민들은 낮엔 밭에서 일하고 밤에는 보초를 서야했다.
계단위 성벽에 난 총안. 총안으로 밖을 향해 총을 겨누거나 감시할 수 있다. 멀리 감시망루도 보인다.
계단위 성벽에 난 총안. 총안으로 밖을 향해 총을 겨누거나 감시할 수 있다. 멀리 감시망루도 보인다.
간이화장실 통시. 통시는 변소와 돼지우리가 함께 조성된 제주지역 전통 뒷간이다. 비가 오면 오물이 넘쳐 냄새가 심했다고 한다.
간이화장실 통시. 통시는 변소와 돼지우리가 함께 조성된 제주지역 전통 뒷간이다. 비가 오면 오물이 넘쳐 냄새가 심했다고 한다.

현기영의 단편소설 ‘도령마루의 까마귀’에는 성을 쌓느라 강제동원된 여편네들과 늙은이, 어린 아이들의 고달픈 삶과 애환이 담겨 있다. 성 밖에 두고온 아들과 어딘가에 도망쳐 숨은 남편을 다시 만날 희망에 고역을 참는 여인 귀리집(貴日宅)은 어느날 송장더미에서 죽은 남편 시체를 발견하곤 절망한다. 소설은 귀리집이 까마귀떼의 습격으로부터 남편의 시신이라도 온전히 지키기 위해 감시의 눈초리를 피해 영순이어멍과 담가에 담긴 시체를 담 밖으로 내던지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도령마루의 까마귀’에선 제주도민에게 닥친 비극의 근인을 가늠케 하는 인상적인 장면이 등장한다.

‘까마귀 오 순경이 메고 있는 총대엔 어서 점호를 끝내라고 태극기가 조급하게 펄럭인다. 흰 광목 천 바탕에 청홍 색깔이 아주 뚜렷하다. 새것인 모양이다. 며칠 전만 해도 일본기 히노마루 붉은 원의 반쪽에다 검은 먹칠 바르고 네 귀엔 윷짝을 그려넣어 만든 헐어빠진 기를 달고 나오더니 어느새 새 걸로 개비했나? 진작 그럴 것이지.(생략) “일본놈 치질 똥고망 핥으며 해먹던 것들인디. 같은 섬 동포 갑죽 벗기기를 흉년에 솟깃대 벗기듯 하던 것들이 새나라 경관 노릇을 하고 있으니 오죽헐 거여? 일본기로 태극기를 맹그는 거나 일본 순사 출신을 대한민국 경찰로 맹그는 거나 매한가지가 아니냔 말이여!”’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진교영 2019-02-19 18:00:25
여편네들과 늙은이, 어린 아이들의 고달픈 삶과 애환이 담겨 있다.
저도 모르게 눈물이 주르르 흐르네요
지금으로선 상상도못하는 그런 삶에 얼마나 마음이 지치고 힘들고 썩어문들어 졌을가요
너무 슬픈 과거입니다
무고하게 돌아가신 분들에 원혼을 달래드리고 명복을빕니다
아울러 숨김없는 착오없는 진실이 모두 밝혀지고 알려져 후대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참 교육이 되었으면 합니다.

강대환 2019-02-19 19:01:39
매번 잘 몰랐던 새로운사실을 알게되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JC 2019-02-19 19:04:22
마치 소설 읽는 듯 합니다. 자전거 여행으로 현지 이야기와 사진과 함께하는.... 그런데 실제로는 참 슬픈 역사 이고 ...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0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다 01283
  • 등록일 : 2012-07-01
  • 발행일 : 2012-07-01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창간일 : 2012년 7월 1일
  • 굿모닝충청(인터넷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7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아00326
  • 등록일 : 2019-02-26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굿모닝충청.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mcc@goodmorningcc.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