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동우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테러가 발생한 지 2주일이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정치적 의도를 띤 채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가짜뉴스가 넘쳐나고 있다.
민주당 ‘당대표정치테러대책위원회’는 16일, 당시 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의 증언과 현장 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테러 상황을 브리핑했다. 김지호 위원장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브리핑하고 이를 통해 사건의 원인과 책임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민주당이 밝힌 현장 상황이다.
이 대표에 대한 테러는 지난 1월 2일 오전 10시 27분경 발생했다. 이 대표는 부산 가덕도 신공항 부지 방문 일정을 마치고 이동하던 중이었으며, 기자들의 질의가 이어지는 중에 괴한이 카메라 기자가 있던 경호 사각지대로 난입해 테러를 자행했다.
순간 강한 충격으로 ‘퍽’ 소리가 났고, 이 대표는 그 자리에서 넘어졌다. 괴한은 재차 공격을 시도했고, 당직자를 포함해 주변 사람들이 강하게 저지했다.
당시 현장은 경찰, 기자, 당직자, 시민 등이 뒤엉켜 매우 혼잡한 상황이었고, 당직자들이 경찰관에게 응급차 호출을 요청했다.
현장에 있던 시민과 천준호 당 대표 비서실장이 빠르게 천, 수건 등으로 지혈에 나섰고, 경찰관에게 안전한 응급조치를 위해 공간을 확보해 달라고 했지만, 현장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군중에 의해 이 대표의 다리가 밟히는 아찔한 상황이 연출됐다.
이 대표에게 대량 출혈이 보이는 징후가 포착됐고, 경찰관에게 의료지식이 있는 응급 전문가와의 전화 연결을 요청했지만 경찰은 이에 대해 묵묵부답이었다.
구급대원의 상담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상당 시간 이어져 재차 빠른 출동을 촉구하자 경찰 관계자는 ‘경찰차로 병원에 이송하겠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전문가가 없는 상태에서의 이송은 자칫 환자 안전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거절했다.
이후 상당 시간이 흐른 후 응급차가 도착해 구급대원의 응급조치 후 소방 구급 헬기를 탈 수 있는 명지공원으로 이동했다.
이 대표는 부산대병원 광역외상센터로 후송됐으며, 부산대병원의 신속한 대처로 지혈은 이루어졌으나 목 부분의 경정맥 손상으로 출혈이 크게 발생해 수술이 필요했다. 이런 긴박한 상황에서도 정보과 형사들이 나타나 환자의 사진을 찍고 영상을 촬영했으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문의했다.
보좌진과 의료진의 협의 과정이 있었다. 오랜 단식투쟁 후 회복기의 환자 상태, 병력, 정신적 지지, 간병 지원, 수술후유증, 개인 의료정보보호 등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해 가족, 보좌진 논의를 종합해 의료진에게 전달했고 부산대 외상센터 의료진이 전원의뢰서를 작성하여 발급함에 따라 13시경 소방 닥터 헬기를 통한 서울대병원 이송이 결정됐다.







민주당은 “경찰이 환자의 핏자국이 남아있는 증거 현장을 사건 발생 37분 전후에 깨끗이 물청소를 해버렸다”며 “명백한 증거 현장 훼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설물 관리자도 아닌 경찰이 왜 현장 물청소를 했으며 사건 현장 지휘도 제대로 못 하던 경찰이 갑자기 누구의 지시로 범행 현장을 훼손했는지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경찰은 지휘 통제 과정의 문제점, 증거 훼손에 대한 진상 파악을 포함해 응급구조에 대한 지식도 훈련도 사전 준비도 부재했던 제도적 문제까지 자체 감사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