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5일 새벽 조선일보가 부산시 의사회의 전언을 인용해 이재명 대표가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은 사실을 물고 늘어졌다. 아무래도 최근 부울경 지역의 여론 추이가 심상치 않기에 이 사실을 트집 잡아 보수표의 이탈을 막아보려는 심산이 아닌지 의심되는 대목이다.
조선일보의 5일자 기사 〈“지역의료 살린다던 민주당 정책과 딴판”… 의료계, 野 비판 고조〉를 보면 부산시 의사회가 부산에서 피습당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서울대병원 헬기 이송에 대해 “민주당의 위선적 태도” “특권 의식” “안하무인”이라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부산시 의사회는 지난 4일 “전국 최고 수준의 응급외상센터(부산대병원)에서 모든 수술 준비가 다 되었음에도 병간호를 핑계로 몇 시간을 허비해 가며 수도권 상급 종합병원(서울대병원)으로 이송했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는 심각한 응급 상황이 아니었음에도 119 헬기를 전용했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에서 그 누가 자신이 원한다고 지역 119 헬기를 타고 자신들이 원하는 상급 종합병원으로 갈 수 있다는 말인가”라고 했다. 의사회는 “숨겨둔 선민의식이 배어져 나온 국민 기만 행위이며, 내로남불의 전형”이라고도 했다. 즉, 이재명 대표가 지역의료를 무시했다는 것이다.
특히 부산시 의사회는 민주당과 이 대표가 지방 의료 붕괴 해결책으로 일정 기간 지방 근무를 강제하는 ‘지역 의사제’와 지역 의사 양성을 위한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한 것을 “위선적 태도”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실제 민주당은 작년 10월 ‘공공·지역 의료 TF(태스크포스)’를 만들었으며 국회 보건복지위에서 관련 법안 2개를 단독으로 처리했다.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해 부산대병원 같은 지역 거점 병원을 지원한다는 취지의 법안을 밀어붙인 것이다.

이 같은 조선일보와 부산시 의사회의 비난에 대해 민주당 당대표실 당직자인 김지호 정무조정부실장은 4일 페이스북에 〈조선일보와 부산시의사회는 닥터헬기 이송과 환자 전원을 왜 저에게 책임묻고 사과요구하시나요?〉란 제목의 글을 올리며 해당 내용에 반박했다.
김 부실장은 “환자 치료에 있어서 의술도 중요하지만 여러 가지 복잡하고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정신적 지지를 해줄 가족의 간호가 절실한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즉, 부산대병원의 의술을 못 믿어서가 아니라 부산이 이 대표의 가족이 거주하는 곳과 너무 멀어 간호가 힘들었기에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한 것이라는 대답이다.
또한 김 부실장 본인은 보좌를 담당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친족이 아니고 정신적 지지를 해줄 수 있는 친밀한 가족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환자 보호자를 대신할 보좌진으로서 환자가 정신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가족의 간호를 받을 수 있게 병원에 요청한 것이 위법하며 윤리적으로 비난받고 사과해야 할 일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또한 부산대 외상센터 의료진이 전원의뢰서를 작성해 관련 자료를 자신에게 발급했고 닥터헬기를 호출한 것이라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선일보와 부산시 의사회를 향해 “부산대 외상센터에서 결정하고 시행한 의료행위에 대해서 왜 조선일보와 부산의사회는 의료행위의 결정권이 없는 저와 민주당을 비난하나?”고 비판했다.

이주혁 원장 역시 당시 이재명 대표가 응급 상황이었음을 강조하며 “이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논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보호자는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현재 언론의 태도는 “정치인의 부인이나 남편이라고 해서 저런 응급 상황에서 네. 대한민국 지역의료와 권역의료 체계를 생각해서 우리 남편은 이곳 00대병원 외상센터에서 수술받도록 하겠습니다”고 하는 격이라 비판했다.
또한 환자가 수술을 받을 곳은 전적으로 법적 보호자인 가족이 결정하는 것이고 민주당 당직자들은 의료법상 결정 권한이 없음을 강조하며 “자꾸 보수 신문들이 민주당에서 서울대 전원을 요구했다고 보도를 내는데 이 사안을 자꾸 정치적으로 물들이고 싶어하는 술책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조선일보 등 수구 언론을 향해 “전원을 결정한 건 대표가 아니라 대표의 가족들이었다. 중증 환자에게는 그 결정을 맡기지 못한다. 근데 무슨 평소 지방 살리기 정책하고 다른 결정을 했다고 나무란단 말인가”고 꾸짖었다. 즉, 하잘 것 없는 트집 잡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주혁 원장은 “그거에 정치적 비판을 하느라 날을 새고 있는데 실소를 금할 수 없다. 지금 아예 이 백주에 일어난 야당대표 테러 사건의 본질은 공중분해됐다. 우리나라 언론의 힘이다. 테러범 김씨보다 헬기와 부산대가 더 많이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원장은 서울대 전원 건의 본질은 서울대병원을 과대평가해서도 부산대병원을 무시해서도 아닌 “목숨이 경각에 달린 환자를 보며 벌벌 떨며 눈앞이 캄캄해하는 가족들이 있었을 뿐”이라고 일축했다. 물론 본인 역시 그냥 이 대표가 부산대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더 나았겠지만 환자의 가족 입장에서는 그런 냉철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이주혁 원장은 세계일보 등 수구 언론에서 양 모 가정의학과 의사의 소셜 미디어에 쓴 글을 퍼다 나르며 이재명 대표 음해에 나서는 태도도 지적했다. 그 양 모 의사는 “권역외상센터조차 없는 서울대를 가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했는데 그것부터가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팩트체크 없이 기사를 썼다는 것이다.
그 밖에 이주혁 원장은 소방헬기 특혜 건 역시 소방청의 범부처 응급의료헬기 공동운영에 관한 매뉴얼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절차상 아무 문제가 없다는 사실도 분명히 했다. 결국 현재 조선일보를 비롯한 수구 언론들이 생산해 낸 기사는 지역 감정을 선동해 보수표를 결집시키려는 알량한 술책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작년 11월 28일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 이후 부울경의 민심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3일 경남MBC에서 발표한 부산의 위성도시라 할 수 있는 동부 경남 지역 5개 선거구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5곳 모두 보수층이 거의 2배 가까이 더 많이 표집됐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줬다.
김해시 갑의 경우 양자 가상대결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박성호 전 경남부지사가 나오든 김정권 전 의원이 나오든 모두 13%p 이상의 격차로 현역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원시 성산구와 창원시 진해구는 현역 의원인 국민의힘 강기윤, 이달곤 의원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떨어져 수성을 장담하기 어려움이 드러났다. 양산시 을과 거제시의 경우 오차범위 내 접전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현재 부울경 지역의 여론이 국민의힘에 썩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번 사건을 통해 과거 박근혜 커터칼 피습 사건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차단하고자 조선일보 등이 이런 트집에 가까운 기사를 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