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국회 국방위원회 야당 위원들이 김용현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경호처장 시기 방첩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특전사령관과 한남동 공관에서 몰래 만난 것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국방위원들은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왜 업무시간이 아닌 때에 은밀하게 불렀는지, 경호 목적이라면 다른 사람들은 왜 안 불렀는지"를 물었다.
앞서 김 후보자는 지난 2일 국방위 인사청문회에서 야당 위원들의 이같은 질문에 "경호 목적"이라고만 답변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위원들은 "만약 경호 목적이었다면 왜 이들을 업무시간에 부르지 않았는가? 대통령 경호안전대책위원회 규정에 명시된 다른 경호 지원 기관이나 부대는 왜 포함시키지 않았는가? 특전사령관은 대통령 경호안전대책위원회 구성원도 아닌데 왜 불렀는가?"를 따졌다.
이어 "방첩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특전사령관이 갖는 공통점은 쿠데타에 꼭 필요한 부대"라며 "12·12 군사반란 때도 방첩사의 전신인 전두환의 보안사령부가 주도하고, 수경사 경비단이 배신하고, 특전사가 육본 벙커를 장악하면서 쿠데타가 완성되었다"고 예를 들었다.
또한 "만약 3개 사령부 사령관들이 국방부장관이나 합참의장에게 보고하지 않고 경호처장의 지시를 받고 모였다면, 이는 군의 지휘체계를 문란케 하는 중대한 사건"이라며 '계엄 예비 논의'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방부는 경호처로부터 회동에 대한 협조가 있었는지, 참석 지시를 하였는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며 "만약 근거가 없다면 군의 지휘체계를 무너뜨리는 불순한 의도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덧붙여 윤석열 대통령에게도 "이러한 의혹을 정치공세라고만 치부하지 말고, 의혹의 중심에 있는 김용현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라"며 "그것만이 국민적 의혹을 벗어나는 길"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 및 연명한 국방위원들은 김병주·김민석·박범계·박선원·박찬대·부승찬·안규백·조국·추미애·허영·황희 의원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