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뉴라이트식 친일 반민족 역사관에 함몰됐다는 비판을 듣고 있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국민의힘 소속 홍준표 대구시장조차도 19일 이른바 '건국절' 논란에 대해 강한 비판을 하고 나섰다. 아무래도 윤석열 정부와의 차별화 선언을 통한 대권 초석 다지기로 분석된다.
홍준표 시장은 19일 자정 무렵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건국절 논란으로 혼란스럽기 그지 없다"며 "우리 헌법에 상해임시정부를 대한민국 법통으로 삼고 있으니 대한민국 건국은 1919.4.11 임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고 그 법통을 이어받아 해방후 영토를 회복해서 1948.8.15 대한민국 정부를 다시 만들었다고 하면 될 것을 무슨 이유로 뜬금없이 건국절 논란을 일으켜서 국론분열로 나라가 소란스러운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임시정부의 지위 논란에 대해서도 "해방후 미군정하에 임정요인들이 귀국해서 정부를 다시 만들었으면 논란이 없었을 것을 해방후 좌우익 혼란상에서 미군정이 임정을 인정 않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거 아닌가요?"라며 '건국절' 타령을 하는 뉴라이트 세력들을 향해 일침했다.
또 "나라의 기본 요소는 주권,영토,국민이 있어야 하지만 상해임시정부는 망명정부이지만 우리 국민들이 세웠고 주권도 갖추었고 영토만 일제에 침탈된게 아니던가? 그래서 영토회복을 위해 우리 선열들은 몸바쳐 독립운동을 했던게 아니던가?"라고 일침하며 "티벳도 망명정부가 있고 팔레스타인도 망명정부가 있는데 상해임시정부를 망명정부로 보는 것은 당연한거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홍 시장은 "1948.8.15 유엔에 인정받기 전에도 대한민국은 망명정부로 임시정부가 있었고 대한민국은 그때 건국된 것"이라고 했다. 홍 시장의 이런 발언에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고장난 시계도 한 두 번은 맞는다고 오랜만에 맞는 말했다"는 반응이 있는 반면 자유한국당 대표 시절 발언을 소환해 비판하는 사람도 있었다.
때문에 이런 홍 시장의 발언은 최근 친일 반민족 행태로 여론의 질타를 받는 윤석열 정부의 모습을 포착하고 계산적으로 발언한 것이란 비판이 있다. 실제 홍 시장은 불과 7년 전 자유한국당 대표 시절 때엔 이와는 정반대의 발언을 했다.
당시 그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광복절 기념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이라 선언한 것을 두고 다음 날 최고위원회의 모두 발언에서 "영토, 국민, 주권이 나라의 3대 요소다. 이것이 사실상 헌법에 그렇게 돼 있다"며 "1919년도 상해 임시정부 당시에 우리 영토, 주권, 국민의 요건을 충족한 상황이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러면 왜 좌파 진영에서 1919년도 임시정부를 처음 만들었을 때를 건국일로 보느냐, 그것은 북한을 의식하기 때문"이라 해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색깔론을 뒤집어 씌운 전적이 있다. 다시 말해 7년 전 본인 또한 뉴라이트 사관에 가까운 발언을 해놓고 이제 와서 뒤집었기에 진의가 의심된다는 것이다.
이에 홍 시장은 19일 다시 본인의 페이스북에 대해 "임시정부를 망명정부로 인정하지 않으면 해방후 우리보다 먼저 정부를 세운 북한에 대해 민족사의 정통성 문제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논란도 일어날수 있다"며 "임정의 법통을 이어받은 정부가 민족사의 정통성이 있는 정부가 아닌가?"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굳이 건국절을 할려면 임정 수립일인 1919.4.11로 하고 1945.8.15은 지금처럼 해방된 광복절로 하는게 어떤가? 그렇게 되면 1948.8.15은 정부수립일로 하는게 맞겠다"며 "참고로 유엔이 1948.8.15. 정부 수립한 우리를 한반도 유일한 합법정부로 공인했지만 1991.에 가서는 북한도 유엔가입이 되어 국제적으로 국가로 공인 되었다"고 덧붙였다.
또 홍 시장은 "내 생각이 지난번 자유한국당 때보다 달라졌다"며 "부질없는 논쟁은 이제 그만 했으면 한다"고 했다. 즉, 현재 자신의 사고방식은 7년 전 자유한국당 대표 시절과는 달라졌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홍 시장의 발언에 담긴 의도에 대해선 여전히 의심의 시각이 쉽게 걷히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