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대전 MBC 사장 재직 시절 법인카드를 유용한 혐의로 고발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5일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출석한 자리에서 '피해자 코스프레'에 가까운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국회 과방위원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경기 남양주갑)이 "소가 하품할 작태"라고 일침했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5일 오후 4시경 대전 유성경찰서에 들어서면서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10년 전 일을 지금 문제 삼아 저를 부르는 것은 대단히 정치적인 목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뜬금없이 김민석 국무총리를 걸고 넘어지는 추태를 부렸다.
그는 "최근 김민석 총리가 청문회에 나와 자료를 내지도 않고도 총리가 되지 않았느냐"며 "저는 사적으로 (법인카드를) 쓴 적이 없기 때문에 자신 있게 자료를 공개했고, 그런 차원에서 참 후회 많이 했다. 정치적인 목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늘 조사에 나온 것은 '경찰은 왜 조사를 안 하고 있느냐', '왜 이진숙을 봐주느냐'는 기사가 나오는 걸 보고 경찰에 피해가 갈까봐 반드시 나와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그동안 혐의점이 없어 저를 부르지 않았다고 생각했지만, 정권 교체기가 되니 어떻게든 문제 삼아 이진숙을 손보는 거 아니냐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조사를 성실히 받고 소명을 하겠다"고 말하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결국 경찰이 자신을 수사하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전 정권 인사를 향한 보복'이라는 황당한 궤변이자 '피해자 코스프레'라고 볼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이런 그의 궤변에 일부 언론사들도 동조하는 추태를 부렸다.

대표적인 예시로 지난 5일 디지털타임스는 <이재명 정부, ‘이진숙 내쫓기’ 성공할까… ‘경찰 출석’ 李, “법카 유용 안해…정치적인 목적 있어”>라는 제목을 통해 노골적으로 이진숙 방통위원장이 마치 '정치 보복'의 희생양인 양 포장하고 이재명 정부가 이 위원장을 눈엣가시로 여겨 의도적으로 내쫓으려고 경찰을 동원하고 있다는 취지의 기사를 썼다.
그러나 이진숙 위원장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은 결코 가벼이 넘길 만한 문제가 아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배우자 김혜경 여사는 지난 2021년 8월 2일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민주당 전·현직 국회의원 배우자 3명, 자신의 운전기사와 수행원 등 모두 6명에게 경기도 법인카드로 10만 4000원 상당의 식사비를 제공한 혐의(기부행위)로 기소됐고 이 때문에 벌금 150만 원 형을 선고받았다. 이 역시도 정치 수사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이 위원장의 경우 대전MBC 사장 재임 시절, 3년간 업무추진비와 접대비 등 명목으로 총 1억 4,000여만 원을 사용했고, 서울 강남의 자택 근처에서만 약 1,700만 원을 결제했으며, 주말 골프장 결제를 30회 총 1,530만원 가량을 결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업무 연관성 여부가 의문이란 지적이 제기됐다.
거기에 더해 대전의 명물인 성심당에서 15차례나 법인카드로 100여 만 원을 결제한 사실까지 드러나 '빵진숙'이란 별명까지 나온 판이다. 김혜경 여사의 경우는 경기도 별정직 공무원 배 씨를 통해 음식값을 경기도 법인카드로 결제하는 데 관여했는지 여부도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음에도 벌금형을 선고받았는데 이진숙 위원장은 그보다 혐의가 더욱 분명할 뿐 아니라 경중을 따졌을 때도 더욱 심각하다.
더군다나 이진숙 위원장은 작년 7월 민주당 소속 국회 과방위원들에 의해 고발당했고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도 이 위원장이 법인카드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정황이 짙다고 주장하며 검찰에 고발했다. 이 때는 모두 윤석열 정부 시기였고 결과적으로 12.3 내란 사태와 파면으로 정권 교체가 이뤄졌지만 그 당시만 해도 조기에 대선이 치러질 것이란 걸 예견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은 쏙 뺀 채 마치 자신이 '정치 보복'의 피해자인 양 궤변을 늘어놓은 것이고 여기에 디지털타임스 같은 일부 언론사들이 부화뇌동하며 사건의 본질을 왜곡시키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이 위원장의 행태에 국회 과방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강하게 일침을 날렸다.
6일 최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진숙극우여전사,찌질한 법카 횡령의혹, 경찰이 3번 불러도 국무회의등 핑계로 거부"라며 이 위원장이 이미 경찰이 3번이나 출석 요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무회의 등을 핑계로 차일피일 출석을 미뤄놓고 '정치 보복' 운운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최 의원은 "체포영장 발부될까 겁나 출석하면서 정치수사라며 헛소리하니 보수언론이 받아준다"며 앞서 언급한 디지털타임스 등의 보도 행태에 대해서도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면서 "그자가 고발된지 1년, 수사 치외법권을 누렸다. 소가 하품할 작태이다"라고 다시 한 번 이진숙 위원장의 '피해자 코스프레'에 대해 강하게 일침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