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동우 기자] 광복회가 주관한 제79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타도 윤석열’을 외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광복회는 15일, 정부가 주도하는 광복절 경축식에 참여하지 않고 서울 용산 효창공원 백범기념관에서 자체적으로 광복절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부끄럽게도,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러운 말씀을 먼저 드려야겠다.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이 자리에서 광복회만의 행사로 치르고 있다”라고 운을 뗀 뒤 “최근 진실에 대한 왜곡과 친일 사관에 물든 저열한 역사 인식이 판치며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후손이 모여 독립 정신을 선양하고자 하는 광복회는 결코 이 역사적 퇴행과 훼손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라고 정부를 질타했다.
이 회장은 “한 나라의 역사의식과 정체성이 흔들리면 국가의 기조가 흔들린다”라며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절’로 하자는 주장이 있다.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건국절인가? 건국절을 만들면 얻은 것은 단 하나, 이승만 초대 대통령에게 ‘건국의 아버지’라는 면류관을 씌어주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회장에 이어 단상에 올라온 김갑년 교수(광복회 독립영웅아카데미 단장)은 “대통령이 국민통합을 이끌지 않고 이 찢어지고 부서지고 깨어진 현실의 책임을 광복회와 국민에게 전가하고 있다”라며 “누가 이배용(국가교육위원장)을, 누가 김광동(진실화해위원장)을, 누가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을, 누가 김낙년(한국학중앙연구원장)을, 누가 김형석(독립기념관장)을 임명했느냐”라고 항변했다.
김 교수는 “길은 하나다. 지금까지의 친일 편향 국정 기조를 내려놓고 국민을 위해 옳은 길을 선택하라. 그것이 후손들과 국민 모두가 사는 유일한 방법이다”라며 “그럴 생각이 없다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라”고 소리쳤다.
김 교수의 항변에 참석자들은 ‘옳소’라고 동조하며 박수와 환호를 보냈고 일부 청중들은 ‘타도 윤석열’, ‘윤석열 탄핵’을 외치기도 했다.
이날 기념식은 광복회가 주최하고 56개 독립운동단체연합이 공동으로 주관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등도 야권 정치인들도 대거 행사에 참석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