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추석을 앞두고 각계에서 '의료대란' 현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쏟아져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를 증명하는 각종 통계들이 속속 쏟아져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4일 공개한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8월 25일까지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을 찾아달라"는 구급대의 요청이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이송병원 선정 건수는 총 1천197건이었다. 이는 지난해(519건)보다 131% 증가한 수치다.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병원이 늘면서 상황센터에 병원 선정을 요처하는 건수가 증가했다는 풀이다.
양 의원은 "정부는 응급의료 현장의 심각성을 낮게 판단하고 있지만, 구급 대원들과 소방당국의 업무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 통계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전공의 부족 사태는 국가유공자 및 가족의 치료를 전담하는 '보훈병원'에까지 미쳤다.
민주당 강훈식 의원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보훈병원 의료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전국 6개 보훈병원에 근무중인 전공의는 19명으로 전체 정원 183명의 10.3%에 불과했다.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기 전인 지난 2월 보훈병원 전공의 수는 총 127명으로 68.3%의 충원율을 보였지만 5개월만에 6분의 1(10.3%%) 이상 급락한 것이다.
중앙보훈병원의 경우 2월말 99명(87.6%)에서 7월말 9명(8.1%)만 남았고, 지방보훈병원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년 단위로 계약을 하는 지방보훈병원 전공의들의 계약이 2월 29일 만료된 후 대부분 충원이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대전보훈병원은 7명(58.3%)에서 아예 한 명(0%)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광주보훈병원은 10명(43.5%)에서 3명(13%)로, 부산보훈병원은 10명(38.5%)에서 6명(23%)로 줄었다.
전공의가 1명만 근무중인 대구보훈병원은 1명을 그대로 유지중이지만 정원 11명중 1명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마찬가지로 한숨이 나오는 상황이다.
강 의원은 "보훈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대부분이 고령의 국가유공자"라며 "심각한 의료난에 애타는 보훈 가족들을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지난 1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의 회담 전 모두발언에서 "응급실 뺑뺑이로 안 죽어도 될 사람이 죽는 사고가 이미 지난해 한 해 총발생량을 이미 초과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음날 기자들에게 "이재명 대표의 주장은 정부 통계로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며 "명확한 근거 없는 주장은 의료진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국민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현실과 동떨어진 '용산'의 인식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