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장기화 되고 있는 의료공백 사태에 대해 정부의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4일 오후 서울 고려대안암병원을 찾아 의료현장 실태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당내 '의료대란 대책 특별위원회' 위원들도 함께 했다.
의료진들과의 감담회를 마친 이 대표는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신속하게 수립하지 않으면 의료 현장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심각한 붕괴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민주당이 먼저 제안한 '여야 의정협의체'가 추석 전 구성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의료대란에 실효적인 대안을 과연 만들어낼 수 있을지 낙관적이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노력을 해봐야 되겠다"고 답했다.
정부가 의료현장에 군의관(공보의)를 투입한 것에 대해서는 "실제로 별로 도움이 안 된다, 다른 근본적 대책이 있어야 된다는 얘기를 이구동성으로 했다"고 현장의 분위기을 전했다.
의정갈등의 원인인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해서는 "(정부가) 규모나 기간 등 의사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대화나 합리적 근거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돼서 과하게 급하게 추진되는 바람에 생긴 문제"라고 지적했다.
덧붙여 "특히 용산의 태도가 너무 요지부동"이라며 "여당과 야당 사이에 일정한 의견 접근이 이루어진다 한들 과연 정부에서 수용될 것인가를 생각해 보면 사실은 매우 비관적"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증원을 2026년으로 미루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그 부분까지도 저는 정부 또 여러 야당들이 터놓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의료취약지역인 지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중환자 대책에 대해서는 "지방에서 중증 환자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대책은 아마 평소보다도 더 심각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