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갑수 기자] 천안아산경실련(공동대표 신동현·윤권종·강인영)은 9일, 경기도와 국가보훈부의 제2 독립기념관 건립 움직임과 관련 “독립운동사의 주류적 관점을 흔들기 위한 ‘반민족·반역사 알박기’ 시도로 볼 수밖에 없다”며 “이런 의도로 천문학적 세수결손 시대에 예산을 몇백억씩이나 들이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이날 ‘서울·경기 독립기념관 건립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역사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어른거린다는 사실은 누구나 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제2 독립기념관 건립에 대해 충청권에서 공식적인 반대 입장을 표명한 것은 경실련이 처음이다.
경실련은 먼저 “역사 관련 주요 기관의 장에 이른바 뉴라이트 계열 역사학자들을 앉히고, 독립기념관장조차 독립운동에 대한 관점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을 임명한 정부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또 한 번 특정 관점을 확대 재생산하기 위한 거점 공간으로 만들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또 “수도권 독립기념관 건립 명문은 국민 정서와 국민적 합의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천안 독립기념관은 지난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며, 독립운동과 같은 역사를 보존하고 후대에 알려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국민 성금을 통해 1987년 8월 15일 개관했다”고 정통성을 강조했다.
경실련은 이 대목에서 “경기도와 광복회가 추진하는 경기도내 독립기념관이나 국가보훈부가 추진하는 국내민족독립운동기념관은 국민 공감대 형성이나 국민적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 건립 명분이 없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특히 “천안 독립기념관은 이미 역사적 상징성과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며 “수도권에 동일한 기념관을 세우는 것은 그 위상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국론분열과 독립정신 훼손의 상징일 뿐”이라고 우려했다.
다음으로 경실련은 천안 독립기념관이 국토의 중심지에 있고, 이곳이 애국지사가 많이 배출된 지역이라는 사실을 언급한 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이미 40년 전에 입지한 독립기념관을 오늘에 와서 각종 문화·역사적 시설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에 (별도로) 짓는 것은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계속해서 경실련은 “이미 존재하는 천안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의 민족사와 독립운동 역사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기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며 “막대한 예산 낭비는 물론 국론분열, 국민적 합의와 공론화가 부족한 독립기념관 건립 추진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