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종현 기자] 김돈곤 청양군수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 요인으로 세 가지를 꼽으며 군민과 공직자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김 군수는 6일 오전 군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은 군 공직자들의 노력과 군민 모두의 참여와 지원, 염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앞서 군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 발표 즉시 TF팀을 구성, 신청을 위한 준비 절차를 밟았다.
이와 함께 범군민 서명운동을 통해 5000여 명의 동의를 받았고, 청양군의회(의장 김기준)도 가세해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다만 국가 시범사업임에도 국비(40%)와 지방비(도비 30%+군비 30%) 매칭은 재정자립도가 낮은 군에게 걸림돌이었다.
게다가 충남도는 예산 지원을 약속하지 않았던 상황.
그러나 김 군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 시 인구 소멸 위기 극복의 전기가 될 것이라 판단, 지방비 전액을 군비로 부담하는 내용으로 신청서를 제출했다.
김 군수는 “지방비 60% 모두를 군비로 부담해야하는 불리한 여건을 안고 공모를 준비할 수 밖에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지역 경제의 선순환을 위해 민선7기부터 추진한 스마트 청양 범군민 운동이 농어촌 기본소득의 취지와 정확히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김 군수는 또 “청양형 다-돌봄 체계 운영 등 개별 사업이 아닌 정책을 통해 지역을 변화시키려고 했던 군정 운영 노력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특히 함께하는 군정 철학에 적극 동참해 준 수많은 군민의 참여와 성원이 있었기에 선정될 수 있었다”고 미소를 지었다.
기대효과도 소개했다. 그는 “농어촌 기본소득은 지급 후 3개월 이내 사용해야 하는 만큼 매달 약 45억 원이 관내에 유통, 침체된 지역 상권이 대폭 활성화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인근 지자체와 경계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의지 상권 이용을 관내로 끌어들이는 상권 흡수·통합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인구가 유입되는 선순환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계속해서 김 군수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는 데 적극 동참해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