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가운데, 윤 대통령이 임명한 뉴라이트 성향 역사 기관장들의 태도에 이목이 쏠린다.
하지만 역사를 다루는 기관의 수장임에도 이들은 이번 12.3 내란 사건에 대해 모호한 답변으로 일관하거나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권 몰락 위기에도 '자리 보존'에 대한 자신감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17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은 지난 5일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에 '12.3 내란' 관련 입장을 물었다고 밝혔다.
국사편찬위는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결의는 합당한 조치"라고 했지만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에 대해선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동북아역사재단도 "외교, 안보, 경제 등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국민 다수가 공감하기에는 부족한 조치"라면서도 "계엄령 선포의 정당성은 관련 기관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했다.
한중연은 "계엄령 포고의 사유에 동의하지 않으며, 포고가 정당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답했다. 세 기관 중 유일하게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부정적으로 평했지만 '눈치'를 보는 듯한 태도다.
이들 기관의 수장들은 '뉴라이트 3인방'으로 불리우며 임명 때부터 야당과 역사·시민단체로부터 지속적인 사퇴 요구를 받았던 인물들이다.

허동현 국사편찬위원장은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 역사교과서를 추진했고, 박지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세월호·이태원 참사에 대해 "정부 탓, 남 탓만 하는 정신상태"라고 폄훼한 바 있다.
김낙년 한중연 원장 또한 '반일 종족주의' 공동저자로 일제의 식량 '수탈'을 '수출'로 미화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백 의원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과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반헌법적이고 위법적인 12.3 계엄 사태에 대해 역사적 책임을 외면했다"며 "국민 신뢰를 저버린 이들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역사와정의특별위(공동위원장 김용만)도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주모자 윤석열의 나팔수, 뉴라이트 인사들은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회견문에는 조국혁신당 대한민국역사바로세우기특별위, 진보당, 민족문제연구소, 역사정의실천연대가 연명했다.
이들은 "뉴라이트 세력은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권 당시에는 정치권 외곽에서 역사부정 논리를 생산·전파하는데 주력했으나, 윤석열 정권에서는 고위 공직을 전유하면서 절대적인 힘을 과시하며 해악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이 임명한 역사왜곡 세력들은 기만적인 언설과 궤변으로 국민들을 호도해왔다"며 "윤석열과 같이 국민에 의해 탄핵 되고 싶지 않다면 자리에서 당장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지목한 뉴라이트 기관장(전·현직) 명단은 상기 세 명 외에도 김형석 독립기념관장과 최근 임명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장도 포함됐다. 전체 명단은 다음와 같다(무순).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 △김영호 통일부 장관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박지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허동현 국사편찬위원장 △김주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박이택·오영섭 독립기념관 이사 △김채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