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토론회는 최근 대전시 혁신학교 출범 준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타 시‧도 사례를 검토하고 성공적인 혁신학교 도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금홍섭 혁신자치포럼 상임운영위원장과 성열관 경희대 교수, 박상혁 경기도 대월초 교장, 백병부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육혁신연구부장, 이해용 대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장학관, 전남식 신일여중 학부모, 조현희 대전중앙초 교사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 자리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성열관 교수는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교육, 추진목적과 과제, 교육활동에 대해 설명한 뒤 “혁신학교는 한국의 학교 혁신을 넘어 동아시아 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는 장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토론에 나선 박상혁 교장은 ‘혁신학교 성공을 위해 자발적인 교사 참여와 협력적인 문화’가 필요함을 강조했으며, 백병부 연구부장은 일반고 위기 담론을 중심으로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제시했다.
또한 조현희 교사는 그동안 ‘대전에서 혁신학교를 꿈꾸다’ 모임을 통해 우리 지역의 여건과 형편에 맞는 방안을 추구해왔음을 설명하면서 지속가능한 대전형 혁신학교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아울러 전남식 학부모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혁신학교 논의에 대해 기대감을 표시하며 “인성과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대안교육으로서 혁신학교가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이해용 장학관은 “혁신학교가 철학적 기반을 잘 살리면서 공교육의 위기의식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회를 주관한 정기현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지난 지방선거에서 전국적 교육쟁점으로 떠올랐던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우리 지역에 바람직한 혁신학교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며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취합하여 대전형 혁신학교 도입방안 모색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