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종현 기자] 충남 4대 광역행정기관(도청·도의회·교육청·경찰청) 소재지 내포신도시 이웃인 홍성군과 예산군 간 택시업계 갈등에 주민 불편이 예상된다.
홍성지역 개인·법인택시를 중심으로 공동사업구역 분리 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것.
8일 충남도에 따르면 양 군 택시업계는 내포신도시 조성에 따라 2012년 2월부터 택시 사업구역을 통합했다.
적용 지역은 내포신도시를 포함한 홍성·예산 전 지역이다.
이에 따라 양 군은 동일 요금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승객이 다른 지역으로 갈 때 요금에 붙는 20% 할증률도(시계외할증)도 받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내포신도시 개발의 불균형이 이어지면서 양 군 택시기사 간 분쟁이 잦아지고 있다.
홍성권역에 개발이 집중되고 인구가 늘면서 택시 수요가 증가하자 예산택시가 내포신도시를 넘어 홍성읍까지 진출해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다는 게 홍성 택시업계의 주장이다.
홍성지역 한 택시기사는 “홍성택시가 예산까지 가서 영업하면 이익을 보기 어렵지만 예산택시는 그 반대”라며 “예산택시가 홍성에서 영업을 해도 사업구역이 하나로 묶여 있어 지자체가 단속할 근거도 없지 않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업구역이 분리되지 않으면 수익에 타격을 입을 게 불보듯 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홍성지역 택시업계들은 최근 홍성군과 충남도에 사업구역 분리를 요구했다.
도와 양 군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양 군 관계자는 “택시사업구역 조정 권한이 없을뿐더러 협약을 파기할 경우 행정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며 “주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중재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예산군 관계자는 “(택시사업구역 분리를) 절대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지난 1일 예산군 관계부서, 예산지역 택시업계 의견을 듣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도청사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라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도 관계자는 “최선책은 양 군 택시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라며 “다만 택시영업권 조정은 기사들의 수입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조심스럽다. 향후 예산지역 업계 의견을 듣고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만약 홍성지역 택시업계의 공동사업구역 분리 건의가 받아들여지면 향후 이중적 도시관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예산도 행정통합은 그리 반대하면서 택시만
고집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