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내포=김갑수 기자] 유동훈 충남연구원장은 “육군사관학교 이전은 시설을 보다 미래 지향적인 쾌적한 환경으로 옮기는 측면과 함께, 태릉을 중심으로 깊이 내재돼 있는 상징적 ‘육사혼’의 이전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가균형발전 등 충남도민을 비롯한 지방민의 시각이 아닌, 육사 출신 또는 현 사관생도들의 시선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문이어서 눈길을 끈다.
유 원장은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던 정책토론회 원고를 통해 이같이 밝힌 뒤 “아마도 군 관계자들이 육사는 ‘국군의 뿌리’라거나 ‘태릉은 우리 군의 성지’라고 주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원장은 이어 “지금의 육사가 처한 환경이 미래 교육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육사 이전’이라는 구상이 혹시 군이 그간 쌓아온 국가에 대한 충성과 헌신의 의미를 패퇴시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심리적 배경도 있는 듯하다”며 “육사를 국가에 대한 희생의 상징으로 동일시하는 군의 시각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유 원장은 또 “국방부 장관, 육군참모총장 그리고 육사 동문 다수가 염려하고 바라는 것은 이전에 상응하는 군의 명예(honor)와 긍지(pride)를 세워달라는 것일 것”이라며 “그래서 육사 이전 문제는 대통령의 공약을 이행하라는 충남도민의 단결된 모습을 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편에서는 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군의 자긍심을 높이는 상징적 조치들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 원장은 특히 “‘균형발전 때문에 충남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논리는 군 관계자들을 설득하기 어렵다. 육사 이전은 육사의 미래 발전적 전략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고 충남이 최적지라는 논리여야 한다”며 “제2의 도약을 이루자. 충남과 함께 육사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와 같은 슬로건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 원장은 그에 따른 구체적인 대안으로 “현 부지를 화랑공원으로 조성하고, 육군박물관을 확대 개편하는 방안은 물론 새로운 캠퍼스에도 병원과 스포츠센터 건립, 대학원 과정 신설, 명예의 전당 등 육사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계속해서 유 원장은 “육사 선후배가 함께 만날 수 있는 광장과 리조트 등을 조성 ‘국민과 함께하는 육사’라는 콘셉트 구상이 이루어지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15일 국회 정책토론회는 육사 이전 반대 세력의 집단 반발로 사실상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