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윤석열 대통령 취임후 700여 일 만에 성사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이 결국 예측대로 성과없이 끝났다.
29일 오후 서울 용산에서 진행한 영수회담에서 이 대표는 '채수근 상병 특검'과 '이태원 참사 특검', '김건희 여사 관련 주가조작 의혹 특검' 수용 등을 요구했다. 윤 대통령은 "감사하다"는 형식적인 답변만 내놓을 뿐 양측은 이렇다할 접점을 찾는데 실패했다.
박성준 민주당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표는 회담이 끝난 후 "답답하고 아쉬웠다. 소통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두어야겠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국회 본청 당대표 회의실에서 영수회담에 대한 총평으로 "영수회담에 대해서 큰 기대를 했지만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며 "상황 인식이 너무 안이해서 향후 국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당이 주장했던 민생회복 국정기조 관련해서 민생을 회복하고 국정기조를 전환하겠다는 의지가 없어보였다"고 분석했다. 다만 "소통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로 공감을 했고 앞으로 소통은 이어가기로 했다"고 짧게 설명했다.
조국혁신당 김보협 대변인은 회담 결과에 대해 "결과물이 너무 초라하다"며 "총선 민심에 관한 시험을 치르면서 윤 대통령은 백지 답안지를 낸 것과 다름이 없다"고 분석했다.
김 대변인은 "이 대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외교안보 등 모든 현안에 대해 총선에서 확인된 민심을 있는 그대로 전했다"며 "그런데 윤 대통령의 답은 거의 없었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여섯 개의 야당이 5월 2일 본회의 처리를 약속한 '채 해병 순직 외압 사건'에 대한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기를 기대했다. 이재명 대표가 제안한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지급’이 민생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중인 대안을 제시하길 바랐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는 의료개혁이 필요하고, 의대정원 증원이 불가피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다만 이날 영수회담에서는 '의료개혁'에 대한 필요성에는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수회담 종료후 대통령실은 이도운 홍보수석의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의료개혁이 필요하고, 의대정원 증원이 불가피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향후 국민의힘 지도부와 함께 '3자 회동' 가능성도 내비쳤다. 이 홍보수석은 "윤 대통령과 이대표는 앞으로도 종종 만나기로 했다"며 "여당 지도체제가 들어서면 3자 회동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형식이든 계속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