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갑수 기자] 카이스트(총장 이광형, KAIST)는 기술가치창출원(원장 이건재)이 추진한 동영상 압축 기술 특허가 국제 표준 핵심 특허로 등록된 이후, 국내 대학 최초로 누적 기술료 총 1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카이스트에 따르면 이 특허는 지난 2014년 김문철·박현욱 전기및전기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고효율 동영상 압축기술(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로, 미국 컬럼비아대학과 함께 대학 최초로 국제 표준 특허풀에 등록됐다.
디지털 영상의 압축 및 압축을 해제하는 장치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해 총 246건의 표준특허를 확보한 것이다.
HEVC(H.265)는 UHD 초고화질급 해상도를 가진 대용량 영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기술표준으로 ▲TV와 방송 ▲스마트폰 ▲액션캠 ▲CCTV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초고화질 영상에 적용 가능하다.
동영상 재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특허 활용을 위해 엑세스 어드벤스(Access Advance, 구 HEVC Advance) 특허풀(Patent Pool) 등은 HEVC 기술들을 선별해 표준특허를 구성하고 라이센스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이런 표준특허로 등록된 기술들은 관련 시장을 선점하고 차세대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어 세계 각국은 표준특허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다는 게 카이스트의 설명이다.
HEVC 관련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기에 도달했으며, 다른 표준 기술들은 성장 초기 단계인 상황에서도 카이스트는 2024년도에만 아마존, 애플, 구글 등으로부터 약 54억 원의 표준기술료 수익을 확보했다.
기술가치창출원은 철저한 특허 분석을 통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고 보유 기술을 다수의 표준 특허풀에 제안해 대학의 연구로 확보한 원천기술이 동영상 압축 국제 표준의 핵심 특허로 인정받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강화를 위해 기술이전 본부(Technology License Office, TLO)와 전담 웹사이트(https://tlo.kaist.ac.kr)를 신설했다.
이밖에도 산학협력과 기술이전 확대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 구축 ▲유망 기술 선정 및 홍보 ▲유망 해외 특허 출원 확대 ▲기술이전 전문가(TLO)가 주도하는 기획 기술이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건재 원장은 “카이스트의 기술사업화를 도약시키기 위해 발로 뛰는 TLO 조직, 표준특허 집중 육성, 지식재산 및 산학협력·기술이전 간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글로벌시장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