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임기 반환점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이 남은 임기 국정운영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야권에서 요구한 '대국민사과'와 '인적쇄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윤 대통령은 9이 오전 대통령실에서 가진 대국민담화에서 "노력과는 별개로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친 점 많았다"며 "주변 일로 걱정과 염려를 드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변명하는 자리가 아니고 제 불찰이고 부덕의 소치"라며 "국민여러분께 죄송하다는 진심 어린 사과를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짦은 사과 이후 윤 대통령의 담화는 기존에 대통령실에서 밝혔던 '국정브리핑'을 재차 설명했다. "정권 이수 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했다"는 자화자찬도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정권 인수 후) 국민들의 어려운 삶을 보면서 빨리 타개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위기극복에 온 힘을 쏟았다"고 회고했다.
또한 "이제 경제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수출은 사상 최고치를, 경상수지도 흑자를 기록했고, 경쟁성장률 잠재 성장률 2% 상회할 전망"이라며 "내년 4월 체코 원전이 마무리되면 더 큰 활력이 불어넣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의 공세를 의식한 듯 남은 임기 완수 의지도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2027년 제 임기를 마치는 그날까지 모든 힘을 쏟겠다, 늘 초심으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생의 변화를 최우선 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잘못된 잘못된 경제기조 국정기조를 정상화 시키는 데 주력했다면 앞으로는 거시지표를 중심으로 위기관리에 중점을 두겠다"고 했다.
아울러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그린벨트 해제와 재건축 활성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금융 지원 확대 △청년 장학금과 일자리 확대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복지 강화도 열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변화가 예고된 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워싱턴 신행정부와 한미안보대응태세 구축하고 첨단기술 협력을 고도화하겠다"고 했다.
덧붙여 "연금·의료·노동·교육 개혁과 인구 위기를 극복하는 저출생을 위한 개혁은 민생과 직결된 것"이라며 '4+1 개혁'에 대한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잘 해나가면 이 위기가 얼마든지 우리 발전의 기회로 바뀔 수 있다"며 "지적할 부분은 지적하더라도 민생과 미래를 위한 일만큼은 모두 힘을 모아주시기를 부탁한다"고 했다.
덧붙여 "우리가 서로 진영이 다르고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우리의 자녀들은 우리의 자녀들에게 좋은 미래를 선사해야 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공통의 과제"라고 했다.
끝으로 "국민 모두의 마음을 모으기 위해 제 마음가짐부터 다시 돌아보면서 더 소통하고 더 노력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민생의 변화를 체감하고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저와 우리 정부는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담화를 마무리했다.
(기자회견 기사 이어짐)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