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훈탁 기자] 미세한 입자성 방사성 폐기물을 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비분산 포장재가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입자성 방사성폐기물 전용 비분산 포장재 '소프트백'을 개발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부터 국내 첫 사용 승인을 받았다고 3일 밝혔다.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은 방사성 직경 0.01mm 이하 입자가 1% 이상이거나 직경 0.2mm 이하 입자가 15% 이상 포함된 폐기물로 확산 위험이 있어 반드시 분산되지 않게 처리해야 한다.
현재는 전용 포장재가 없어 체 분리 공정을 거쳐 체를 통과하지 못한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만 포장하여 영구 처분이 가능하다. 나머지 미세 입자는 시멘트 등을 이용해 고정화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처분 비용이 2배 이상 증가한다.
방사성폐기물총괄관리실 은희철 박사 연구팀은 부식에 강하고 화학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원단과 고강력사를 활용한 특수 봉제 방식을 적용 200리터 드럼 크기에 맞춰 입자성 방사성폐기물 전용 포장재를 개발했다.
포장재에 350㎏ 이상의 폐기물을 넣고 1.2m 높이에서 떨어뜨려 내용물의 유실·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낙하 충격 시험과 1m 깊이에서 30분간 물에 담가 침수 여부를 확인하는 물 침투 시험을 모두 통과해 사용 승인을 위한 조건을 충족했다.
이 과정에서 포장재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지침을 제공, 누구나 동일한 강도로 포장할 수 있어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소프트백을 적용하면 기존 방식과 달리 체 분리와 고정화 공정없이 소프트백에 바로 포장하여 영구 처분할 수 있어 처리 소요 시간도 90% 이상 단축된다.
오는 5월부터 이 소프트백을 활용해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 토양 포장 작업을 진행할 경우 1000드럼당 80억 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지난 3월 국내 특허 출원에 이어 4월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오르비텍에 이전했다.
박성빈 방사성폐기물통합관리단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방사성 폐콘크리트에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원전 해체폐기물 처리를 위한 현장 기술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