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훈탁 기자] 금나노입자와 지질나노입자 기반의 바이오나노 기술을 이용, 슈퍼박테리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 항생제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특정한 병원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 항생제 내성문제를 극복한 신규 항생제로 슈퍼박테리아를 정밀하게 타겟 제어할 수 있는 신개념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원 설명에 따르면 세균 생존에 필요한 철분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시데로포어'라는 유기물질에 금나노입자를 결합시킨 뒤 특정파장의 빛(근적외선)일 조사해 세균 속 금나노입자가 수백도의 열을 발생시켜 녹농균을 사멸시키는 방식이다.
피부 감염 생쥐 실험결과 상처가 빠르게 치유된 반면 면역세포나 정상피부 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생체안전성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연구팀은 세균 내로 유전자 편집 시스템(CRISPR-Cas13a)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질나노입자를 제작, 세균 특이 가이드 RNA가 세균의 특정 유전자를 인식하면 유전자 편집 시스템에 있는 효소(Cas13a)가 세포 내 RNA를 무작위적으로 분해해 세균을 사멸시키는 원리도 적용했다.
패혈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결과 새로운 지질나노입자에 의해세균 몸속으로 들어간 유전물질이 치명적인 유전자 편집을 일으켜세균이 사멸되면서 패혈증을 성공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류충민 박사는 “슈퍼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학에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한 이번 기술은 기존 항생제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차세대 감염 치료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