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훈탁 기자] 한국천문연구원은 국제공동 연구팀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천문관측위성을 통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분자운)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3년 발사된 과학기술위성 1호의 주탑재채인 원자외선분광기(FIMS) 자료를 이용해 새로운 분자운을 발견하고 'EOS'라고 명명했다.
그리스 신화 속 새벽의 여신에서 이름을 본뜬 'EOS'는 우리은하 분자운을 관측하기 위한 연구프로젝트인 동시에 원자외선 수소분자 방출선으로 발견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운이다.
이번에 발견된 분운은 지구로부터 약 310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뜨거운 국부거품(Local Bubble)의 경계에 위치한다.
우주에서 가장 흔하게 존재하는 수소분자는 별이 탄생하는 지역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원소지만 원자외선을 제외한 다른 파장에서는 관측이 어렵다. 원자외선분광기를 이용한 이 연구에서는 전파 등 다른 파장으로는 볼 수 없는 분자운의 존재를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NASA의 소형망원경(SMEX) 미션에 제안된 수소분자 형광방출선 관측을 통해 우리 은하의 분자운 관측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EOS 연구팀이 이끌었다.
연구팀은 추가로 다파장 관측자료를 활용해 이 분자운의 위치, 질량, 별 탄생 가능성 등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천문연 연구진이 참여한 해당 논문은 천문학 분야 최상위급 학술지인 네이처 아스트로노미(Nature Astronomy Journal) 4월 28일자에 게재됐다.
조영수 책임연구원은 “우주에 있는 다양한 물질의 분포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파장 관측이 필요한데 그동안 기술상의 한계로 원자외선 관측 시도가 적었다”며 “희소한 FIMS의 원자외선 분광 자료를 기반으로 한 이번 연구결과가 우리은하 별 탄생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자외선분광기 개발을 주도했던 선광일 책임연구원은 “20년 전에 관측한 데이터가 현재 시점에서도 유용하다는 점에서 뿌듯하다”며 “곧 본격 관측을 시작하는 스피어엑스 및 K-DRIFT 등 전천 관측 우주망원경과 함께 관련 연구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