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27일 새벽 네 번째 비상

역대 최다 13기 위성 탑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첫 총조립 주관
국내 첫 야간 발사, 차세대중형위성 3호 임무 위해 심야 발사 결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굿모닝충청 윤용 시민기자]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자료사진 = 우주항공청 제공)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자료사진 = 우주항공청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오는 27일 새벽 0시 55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네 번째 우주 비행에 나선다. 이번 발사는 단순한 위성 발사 수준을 넘어 대한민국 우주 개발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 체계로 전환되는 분수령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4일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까지 전체 조립을 마치고 발사체 ‘완전체’로서 최종 점검에 들어갔다.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톤 규모의 3단형 발사체로, 1·2·3단 체계를 일렬로 연결하는 총조립 과정이 예정대로 마무리됐다.

이번 4차 발사의 핵심은 민간 기업이 처음으로 제작을 총괄했다는 점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발사체 제작, 총조립, 구성품 협력사 관리까지 제작 전 과정을 주관하며, 항우연은 발사 운용을 맡되 한화가 운영에도 일부 참여하는 본격적인 민관 협력 구조를 구축했다. 이는 한국 우주산업이 ‘뉴스페이스(New Space)’ 체제로 본격 진입했음을 상징한다.

누리호 4차 비행은 탑재체 구성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번 발사에는 역대 최다인 13기 위성이 실린다. 1차 발사에서는 위성 모사체 1기, 2차에서는 성능검증위성 1기와 모사체 1기, 3차에서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7기 등 총 8기를 실었지만, 이번에는 규모와 구성 모두 대폭 확대됐다.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516kg)는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해 지구 자기권 플라즈마 측정, 오로라 및 대기광 관측, 지구 에너지 유입량 예측 등 고난도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함께 실리는 12기의 큐브위성은 국내 대학·기업·연구기관이 제작한 성과로, 우주의약·위성 폐기·항법·지구 관측·6G 통신 등 다양한 기술 실증에 나선다. 특히 스페이스린텍의 ‘비천’은 세계 최초로 소형위성에서 단백질 결정 성장을 실증하고, 우주로테크의 ‘코스믹’은 국내 첫 ‘위성 폐기 기술’을 검증한다.

누리호의 첫 야간 발사도 시선을 끈다. 새벽 0시대 발사 시각은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임무 조건 때문이다. 오로라와 대기광은 태양광 간섭이 거의 없는 시간대에만 관측할 수 있어, 목표 궤도 진입 시점을 계산한 결과 나로우주센터 발사 시각이 새벽으로 결정됐다.

항우연은 이번 야간 발사를 위해 발사대 주변 조명을 강화하고, 30대 이상의 초고해상도 카메라를 배치해 성공 장면을 실시간으로 포착할 준비를 마쳤다. 또한 야간 운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휴먼 에러’를 막기 위해 인력 피로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누리호는 25일 발사대로 이동해 기립한 뒤, 26일에는 추진제와 헬륨 충전에 필요한 최종 점검이 진행된다. 발사관리위원회는 발사 시간과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발사 4시간 전 기립장치를 철수한 뒤 발사 준비가 완료된다. 

최종 발사 여부는 지상풍·기온·습도, 태양 활동, 우주 충돌 가능성 등 기상·우주환경 요소를 고려해 발사 8시간 전에 결정된다. 발사 10분 전부터는 발사관제시스템이 자동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발사 자동운용(PLO)’에 들어가고, 1단 엔진 추력이 300톤에 도달하면 고정장치가 풀리며 누리호는 밤하늘을 향해 솟구친다.

누리호의 전체 비행시간은 약 21분(1284초)이며, 이 시간 동안 단계별 분리와 위성 사출이 정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4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한국은 독자 발사체 기술을 넘어 글로벌 우주산업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실질적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0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다 01283
  • 등록일 : 2012-07-01
  • 창간일 : 2012-07-01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인터넷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7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아00326
  • 등록일 : 2019-02-26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굿모닝충청. RS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mcc@goodmorningcc.com
ND소프트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