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종현 기자] 김태흠 지사가 공공기관 구조조정을 충남에서 가장 먼저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 충남 혁신도시(내포신도시)에 공공기관이 조속히 이전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8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대통령-민선8기 시·도지사 간담회에 참석한 김 지사는 “지난 정부 과도한 확장으로 공공기관의 조직이 비대해진 반면, 경영실적은 부진해 부채가 크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 정부에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경영 효율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의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 추진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 또한 실행력 있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구조조정을 충남부터 앞장서 추진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에 힘을 보태는 동시에 그 바람직한 모델을 충남에서 만들어 내겠다는 의지를 밝힌 셈이다.
앞서 김 지사는 도 산하 공공기관에 대한 강도 높은 개혁과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도에 따르면 도 산하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은 2019년 18개에서 지난달 말 기준 21개로 3개 늘었다.
도 출연금은 같은 기간 680억 원에서 915억 원으로 34.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구조조정과 맥을 같이한다는 명분이지만, 민선7기 양승조 전 지사가 임명한 기관장들에 대한 우회적인 퇴진 압박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김 지사는 지난 4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민선8기 첫 실국원장회의에서 도가 추진해 온 공공기관(장) 경영평가를 전문 회계법인에 맡길 것을 지시한 뒤 “도정이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은 털고 가야 한다”며 “경영평가와 병행해서 감사위원회에서 공공기관 전체에 대한 감사를 조속히 시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는 단순히 민선7기에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을 모조리 교체하겠다는 차원을 뛰어넘어 해당 공공기관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 그에 따른 성과는 무엇인지를 꼼꼼히 살펴보겠다는 것이어서 정치적 부담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개별 공공기관의 협조와 함께 도민 공감대를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충남 혁신도시(내포신도시) 완성을 위한 공공기관 이전을 촉구했다.
그는 ”220만 충남도민의 열망을 담은 충남 혁신도시가 2020년 10월 지정됐지만. 정부의 후속 정책 부재로 공공기관 이전을 포함한 관련 사업이 전무하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등의 성과가 없는 충남에 예산액과 종사자 수가 큰 대형 기관이 조속히 이전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윤 대통령에 요청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