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내포=김갑수 기자] 민선7기에 임명된 충남도 공공기관장과 민선8기 김태흠호의 ‘불편한 동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무라인 등을 중심으로 “이제는 물러날 때가 됐다”는 목소리가 높아져 눈길을 끌고 있다.
내용인 즉, 도 감사위원회의 감사에 이어 공공기관 통‧폐합까지 추진되고 있는데도 정작 민선7기에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이 자리를 보존하고 있는 것은 도의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한 정무라인 관계자는 최근 <굿모닝충청>과 통화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나라 마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조례 개정을 통해 도지사와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일치시키려는 움직임만 봐도 본인들 스스로 느끼는 게 있어야 하지 않느냐?”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또 다른 정무라인 관계자는 “감사위원회 감사에 이어 25개 공공기관을 18개로 통‧폐합하는 방안까지 추진 중인 상황에서 아무도 이에 대한 책임을 지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도 감사위원회는 8월부터 10월까지 공공기관 운영실태 특정감사를 통해 행정상 ▲153건(시정 40건, 주의 81건, 권고‧개선 7건, 현지처분 25건) ▲재정상 1억5321만4000원 ▲신분상 108건(기관경고 12건, 기관장경고 4건, 경징계 8건, 훈계 63건, 주의 20건, 수사의뢰 1건) 등 조치를 처분한 바 있다. 수사의뢰 1건이 포함된 것이 눈길을 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충남도의회 양경모 의원(국민‧천안1)이 대표 발의한 ‘정무‧정책보좌공무원 및 출자‧출연기관장과 임원의 임기에 관한 특별 조례안’과 관련 “민선7기에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이 자신의 임기를 보장하겠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말이 안 되는 얘기”라며 “민선8기에는 아무리 캠프 출신이더라도 해당 분야 전문가가 아니면 절대 공공기관장으로 임명하지 않겠다는 원칙이 철저하게 지켜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는 별도로 통‧폐합 대상이 된 공공기관 직원들을 중심으로 해당 기관장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차적으로는 통‧폐합을 막지 못했다는 게 가장 큰 이유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전문성이 아닌 캠프 출신 낙하산 성격이 강하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 크고 작은 논란을 일으켜 왔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다만 민선7기에 임명됐다 하더라도 전문성을 갖춘 기관장들의 경우 조직 내부의 신뢰가 두터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태흠 지사 역시 이런 상황을 일정부분 파악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한편 1월 현재 25개 공공기관(공기업 1, 출연기관 21, 보조기관 3,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제외) 중 민선7기에 임명된 기관장은 16명 안팎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인재육성재단 상임이사 ▲평생교육진흥원 원장 ▲경제진흥원 원장 ▲과학기술진흥원 원장 ▲청소년진흥원 원장 등은 공석인 상태다.
민선7기에 임명된 기관장 중 현재까지 자진 사퇴한 사람은 이응기 전 충남테크노파크 원장이 유일하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