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친일 강도가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이젠 후쿠시마 핵오염수를 ‘오염처리수’로 용어를 바꾸고 그걸 공식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국민의 동의 없이 ‘오염처리수’라고 용어를 바꾸고 그걸 국민들에게 강요하겠다는 뜻이나 다름 없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국민의힘의 우리바다지키기 검증TF 위원장인 성일종 의원(충남 서산시․태안군)은 오늘 수산업계 및 급식업계와의 간담회를 마친 뒤 "오염수나 핵폐수 같은 용어는 정치공세"라며 "오염처리수라 쓰는 게 맞고, 위원장인 자신이 썼으니 당 차원에서는 공식화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오염처리수'라는 용어를 사용해온 성 의원은 오늘 수산업계-급식업계와의 간담회에서도 거듭 같은 표현을 썼다. 그는 “국민안전을 위해 태평양 바다까지 방사능 검측 범위가 확대가 됩니다. 이는 일본에서 방류되는 '오염처리수'의 이동 경로를 선제적으로 정부가 추적하기 위한 것입니다.”고 하며 직접 ‘오염처리수’라 용어를 썼다.
유상범 수석대변인도 "일본에서 오염된 걸 처리해 방류하는 거니까 '오염처리수'로 불러야 할 것"이라며 "IAEA의 공식 용어이기도 하고, 이제 오염처리수로 공식화해야 한다"고 했다. 거기에 더해 간담회에 참석한 수산업계에서는 아예 '오염' 자도 빼고 '처리수'라고만 부르자는 제안이 나왔다.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장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그리고 알프스에 정화돼서 나가는 물 자꾸 오염수 오염수 하니… 이에 대한 거부 반응이 또 있는 거예요.”라고 했다.
그러나 이런 국민의힘의 행태에 대해 옹호보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더 크다. 현재까지도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후쿠시마 핵오염수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 상황에서 용어를 억지로 바꾼다고 해서 국민들이 갑자기 안심하게 될 수 있을 리가 없다.
무엇보다 국민들의 동의가 없는 상황에서 집권 여당이 일방적으로 후쿠시마 핵오염수를 ‘오염처리수’라고 바꿔 불러야 한다고 나서고 그걸 강요하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와는 전혀 거리가 먼 이야기다. 용어 가지고 말 장난하기 전에 정말 후쿠시마 핵오염수가 해양에 방류해도 괜찮은 것인지 충분히 검증하고 향후 해양 생태계에도 정말 영향이 없는 것인지 검증하는 것이 우선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