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내포=김갑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 안 지키면 저도 일정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 미이행 여파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제355회 임시회를 진행 중인 충남도의회(의장 홍성현) 여야 의원들이 한목소리로 이 문제를 지적하고 나선 것.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도로와 철도 등에 대한 정부 수정계획 반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과 함께 그에 따른 책임에서 본인도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인정하며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먼저 방한일 의원(국민·예산1)은 지난달 28일 도정질문에서 “많은 도민께서 윤석열 대통령 취임 당시 약속한 ‘7대 과제·15대 정책과제’가 기대와 달리 지지부진한 상태를 보며 추진 의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정치적 약속이 아닌, 도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 의원은 “충남도에서 대통령 공약사업 이행을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밝혀 달라”며 “남은 임기 내에 대통령 공약사업이 가시화 돼 충남이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역량을 모아 달라”고 주문했다.

발언대로 나온 김 지사는 “(대선공약 미이행에 대해) 가장 걱정하는 사람이 바로 저”라며 “정치인으로서 저의 소신과 철학은 국민과 도민께 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공약이행 부문 민간 평가에서 2년간 최고 등급을 받았고, 이행률 역시 시·도지사 중 1위를 기록한 사실을 언급한 김 지사는 “그러나 대통령 공약이 지지부진해 저도 무척 걱정”이라며 “대통령 지역 공약 35개 중 제 공약과 연계된 공약은 27개로, 제2금강교 건설과 GTX-C노선 연장 등은 순조롭게 추진 중인 반면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의 경우 대통령 공약이고 도가 주도적으로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공모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또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의 경우 하루빨리 발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속도로와 국도, 국지도 등 도로망 계획을 다시 설정하려면 2026년까지 가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어도 올 연말이나 내년 초에는 수정계획을 해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며 “대통령 공약이 반드시 이뤄질 수 있도록 제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진 조철기 의원(민주·아산4)의 도정질문에서는 도로·철도분야 대선공약을 중심으로 공방전이 벌어졌다.
조 의원은 “교통망 확충 관련 대통령과 도지사 공동 공약 9건 중 제2금강교 건설을 제외하고는 이행률이 0%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라며 “‘국가계획 반영 검토 중’이라고만 돼 있는데 실천 의지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포문을 열었다.
조 의원은 또 답변요지서에 ‘수정계획 대신 차기 국가계획을 앞당겨 추진하고 있다’고 나온 사실을 확인한 뒤, 김 지사의 실제 답변 내용과 차이가 있음을 문제 삼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그렇게 됐다고 하면 저의 최종안을 받지 않고 (답변요지서를) 보낸 모양인데 죄송하다”며 “수정계획은 아직 논의가 안 됐다. 문재인 정권 말기인 2021년에 5년, 10년 단위 정부 계획이 수립됐기 때문에 중간에 수정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재차 설명했다.
김 지사는 특히 “회피하려는 게 아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 안 지키면 저도 일정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어느 시점에서는 도민께 설명을 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자화자찬(自畵自讚)이라고 그러시는데, 어떻게 보면 민선7기 때는 더 안지켰다. 문재인 정부가 더 안 지켰다”고 역공을 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조 의원은 “달빛철도(대구~광주)의 사례처럼 국회 차원에서 특별법을 통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며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처럼 도의회 여야 의원들이 한목소리로 대선공약 미이행에 대해 공식적인 자리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보인다. 앞서 육군사관학교 논산 이전 사실상 무산에 이어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에 대한 타당성 재조사가 탈락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부권 동서횡단철도와 제2서해대교, 혁신도시 시즌2와 맞물린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등 나머지 대선공약도 지지부진한 상태여서 이같은 반발 기류는 갈수록 거세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