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동우 기자] 서울시 용산구 대통령 관저에 70㎡로 추정되는 건물이 있다. 대통령 관저 주거동 침실이 있는 쪽 바로 앞에 있는 이 건물은 등기부등본에 등록돼 있지 않다. 증축에 들어간 비용도 없다. 등기부등본상 존재하지 않고, 건립비용도 들어가지 않은 이 건물은 ‘유령 건물’로 불린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국회의원(서울 구로을) 지난 1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처음 제기했다. 윤 의원은 이 건물 위성사진과 현대건설 설계도와 제안서 일부를 공개하며 “김용현 (전)경호처장과 경호처가 현대건설 담당자를 통해 시행업체에 제안했다”라고 했다. 현대건설의 제안서는 가로 10.5m, 세로 6.6m, 높이 4.2m의 크기에 외장재로는 백색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사용하는 걸로 되어 있다.
해당 건물은 구글어스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실체는 있지만, 등기부등본에는 존재하지 않고, 대통령실에서 공사비를 지출한 흔적도 없다. 지난 9월, 감사원은 대통령 관저 이전에 대해 감사를 진행했지만, 해당 건물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대통령실도 해당 건물의 건축비가 어떤 예산으로 집행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고 있다,
관저 이전 공사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한겨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해당 건물이 2022년 5월과 8월 사이에 증축됐다며 “관저 공사 도중에 주거동 침실이 있는 쪽 바로 옆에서 기초 공사가 시작됐다. 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관저 공사를 마치기 전에 외장 공사가 먼저 끝났다”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건물 구조에 대해 육안으로 봤을 때 길이는 10m 정도고 높이는 4m 정도라고 했다. 현대건설 제안서와 정확히 일치한다.
정치권에서는 해당 건물이 스크린 골프시설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스크린 골프시설이 맞다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수천만 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대통령실 정진석 비서실장과 김성훈 경호처장은 해당 건물이 ‘스크린 골프시설이 아니라 창고’라고 해명했다. 대통령실의 해명대로 ‘창고’라고 해도 건축비는 천만 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해당 건물이 대통령실 예산으로 지어지지 않고, 누군가가 지어서 준 것이라면 뇌물에 해당한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21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대통령 관저에 설치된 '무허가 유령 건물'에 얽힌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다. 공사비조차 어떻게 댔는지 알 수 없는 건물”이라며 “감사원 보고서에도 고스란히 빠진 이 건물을 누군가 무상으로 지어주거나 대납했을 가능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어느 경우라도, 명백히 뇌물죄에 해당한다”라고 했다.
박 대변인은 “위성사진에 잡힌 이 건물은 '스크린골프장 제안서'에 담긴 제안 및 관계자의 증언과 일치하는 형태로 지어졌다”라며 “대통령실은 이 건물을 누가 지은 것인지, 어떤 예산으로 지은 것인지 명명백백히 밝히시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