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내란사태 여파로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이상민)의 조직 세가 급속도로 약화되는 모양새다.
이미 동구가 사고당협인 상황에서 윤소식 유성구갑 당협위원장도 전격 사퇴한 것인데, 이를 수습할 중앙당 역시 혼란을 겪고 있는 등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
윤소식 유성구갑 당협위원장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퇴의 변을 올린 뒤 “35여 년의 공직생활을 마치고 고향 유성을 위해 일하고 싶어 정치에 뛰어든 지 1년 4개월이 흘렀다”며 “그동안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험지라는 지역에서 나름의 진전도 있었지만 정치적 한계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시국상황을 바라보면서 안타깝고 참담하며 죄송한 마음이 든다”며 “경찰 재직 시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이 사법조치 되는 상황을 보면서 너무나 마음이 아프고 죄책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책임을 느끼면서 고민도 많이 했다. 가족도 생각했다”며 “결국 당협위원장을 내려놓기로 결정했다. 지금까지 저를 지지해 주시고 동고동락했던 많은 분들께 죄송한 마음”이라고 사과했다.
현재 대전지역 국민의힘 당협 7곳 중 2곳이 사고당협이다. 앞서 동구 지역의 경우 윤창현 전 국회의원이 지난 9월 코스콤 제20대 대표이사 사장 임기를 시작하면서 직을 내려놓은 바 있다.
문제는 중앙당에서 당협위원장 임명을 하고 있는데 현재 한동훈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사퇴하면서 지도부가 붕괴되는 등 당 전체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시당으로서는 사고당협을 메울 수 있는 시기나 조직을 정비할 수 있는 방법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이나 2026년 6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응 역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시민사회·종교·학계 등에서는 국민의힘을 윤 대통령 내란사태의 공범으로 규탄하는 등 지역사회 여론 역시 좋지 않아 향후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는 것 역시 대전시당이 해결해야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중앙의 혼란이 지역에까지 파장을 미치는 모양”이라며 “가뜩이나 대전은 국민의힘의 험지로 꼽히는데, 윤석열 대통령의 충동적인 비상계엄과 한동훈 대표의 빈약한 리더십이 보수의 싹까지 잘라버렸다”고 개탄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