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여기어때] 남북분단의 아픔이 느껴지는 임진각

얼어붙은 임진강을 보며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떠올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에 위치한 임진각의 모습.(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에 위치한 임진각의 모습.(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윤석열 정부 들어 남북관계는 도무지 회생 불가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뉴라이트 인사들이 꽉꽉 들어차며 노골적인 대북 적대 정책을 쓴 윤석열 정부는 급기야 친위 쿠데타를 위해 북한과의 국지전을 유도하려는 만행까지 저질렀다. 북한은 그들대로 올해부터 남한을 아예 국가로 승인해버리며 '적대적 2국가' 체제로 가 사실상 통일을 포기하고 '영구 분단'을 공식화했다.

이렇게 남북관계가 경색 국면에 들어서 있는 상황에서 다시금 남북통일의 희망을 찾기 위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에 있는 임진각을 찾았다.

임진각 망배단의 모습. 실향민들과 그 후손들은 매년 추석과 설날 때마다 이곳에서 제를 올리며 고향 땅에 가지 못한 채 조상을 모시지 못하게 된 슬픔을 달랜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각 망배단의 모습. 실향민들과 그 후손들은 매년 추석과 설날 때마다 이곳에서 제를 올리며 고향 땅에 가지 못한 채 조상을 모시지 못하게 된 슬픔을 달랜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각은 '임진강의 누각'이라는 뜻으로 1972년 북한에서 내려온 실향민들을 위해 만들어진 곳이다. 임진각이 있는 곳은 1번 국도를 따라 민간인이 갈 수 있는 가장 끝지점에 해당하기에 북한에 고향을 둔 실향민들에게 최대한 고향과 가까이 갈 수 있는 기회를 베풀고자 이곳에 임진각을 건설한 것이다.

임진각에는 망배단이란 곳이 있는데 실향민과 그 후손들은 매년 추석과 설날 때마다 이곳에서 제를 올리는 것으로 고향 땅에 가지 못하는 슬픔을 달래고 있다. 이제 1세대 실향민들은 결국 고향으로 영영 돌아가지 못한 채 하나둘씩 저 세상으로 떠나고 있어 가슴을 아프게 한다.

경의선 철도와 도로 연결 노선도. 현재 도라산역~판문역 구간이 DMZ 안에 있어 현재까지 끊어져 있는 상태이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경의선 철도와 도로 연결 노선도. 현재 도라산역~판문역 구간이 DMZ 안에 있어 현재까지 끊어져 있는 상태이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각은 지상 3층, 지하 1층, 대지 6,000평, 연건평 2,442㎡ 규모의 편의시설인데 1층에는 임진각 기념품점 및 카페와 작은갤러리, 2층에는 한정식집과 기념품판매점 등이 있었고(2022년 기준 공사중) 3층에는 북한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전시실과 카페(2022년 기준 공사중)가 있었으며, 옥상에는 임진강과 자유의 다리 일대를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 

과거엔 이곳에서 기념품으로 북한 지폐와 북한 담배 등 북한 관련 상품들을 팔았으나 최근 대북제재 및 남북 교류 중단으로 인해 팔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자유의다리와 임진강 철교 상행선, 하행선, 독개다리 등의 모습. 저 너머로 가면 판문점이 나오고 판문점을 지나면 북한이 나온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자유의다리와 임진강 철교 상행선, 하행선, 독개다리 등의 모습. 저 너머로 가면 판문점이 나오고 판문점을 지나면 북한이 나온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망배단 뒤로 맨 앞에 가로로 가로지르는 다리가 자유의 다리, 강 맨 왼쪽에 있는 다리가 임진강 철교 상행선, 중간에 다리 기둥만 남은 것이 임진강 철교 하행선, 그리고 맨 오른쪽에 있는 일부만 복원된 다리가 2016년에 시공한 독개다리이다. 비슷비슷하여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의 모습. 전쟁과 남북분단의 참상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의 모습. 전쟁과 남북분단의 참상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독개다리 입구 근처에서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을 볼 수 있다. 이 기관차는 6·25 전쟁이 한창이었던 1950년 12월 31일에 연합군 측의 군수물자와 식량을 수송하기 위해 개성역에서 25량을 달아 출발해 신의주역으로 가던 중 중공군의 인해전술로 인해 한포역에서 서울로 후퇴하게 됐다.

옛 임진각역 표지판. 서울보다 개성이 더 가까운 곳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곳에서 개성으로 갈 수가 없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옛 임진각역 표지판. 서울보다 개성이 더 가까운 곳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곳에서 개성으로 갈 수가 없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이 증기기관차가 북한군에게 넘어갈 것을 우려한 연합군들은 밤 10시경에 장단역에서 총격을 무차별적으로 가했고 결국 파괴됐다. 파괴 후 장단역 터에서 50여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철로 옆에 붉게 녹슨 채 반세기 가량 방치되어있다가 2004년 2월 6일에 등록문화재 제78호로 지정하고 2007년 11월에 방염처리를 비롯한 복원 과정을 거친 후 남측 군사분계선에 있던 것을 가져와 임진각에서 전시하고 있다.

민통선 지역까지 갈 수 있는 임진각 평화 곤돌라의 모습.(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민통선 지역까지 갈 수 있는 임진각 평화 곤돌라의 모습.(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최근 임진각에선 민간인 출입통제선 지역인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까지 850m 구간을 케이블카로 운행하고 있는데 임진강과 자유의 다리, 통일대교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케이블카 이용 요금은 왕복 요금이며 QR코드가 인쇄된 탑승권을 제공한다.

임진각 평화 곤돌라에서 바라본 임진강의 모습. 취재 당일 서울의 한강은 아직 얼지 않았으나 서울에서 불과 50km 떨어진 파주 임진강은 강물이 얼어 있었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각 평화 곤돌라에서 바라본 임진강의 모습. 취재 당일 서울의 한강은 아직 얼지 않았으나 서울에서 불과 50km 떨어진 파주 임진강은 강물이 얼어 있었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케이블카는 일반캐빈과 크리스탈캐빈(일반캐빈에 바닥이 투명한 것) 2종류로 운행하고 크리스탈캐빈은 흰색, 나머지는 일반캐빈으로 모두 캐빈당 최대 10명까지 탑승이 가능하다. 곤돌라 북측구간 펜스 밖은 미확인 지뢰지대라 펜스 안쪽에서 행동해야 한다.

멀리 보이는 곳은 민통선 이북 지역이다. 이곳에 출입하기 위해선 보안서약서 작성과 신분증 제시가 필요하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멀리 보이는 곳은 민통선 이북 지역이다. 이곳에 출입하기 위해선 보안서약서 작성과 신분증 제시가 필요하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물론 탑승구간이 군사보호구역을 지나가므로 케이블카 내부에서 군사시설 및 철책 촬영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고 민간인 출입통제선을 넘기에 남측구간에서 예매 전 보안서약서를 작성 후 제출해야 탑승권이 발권된다. 또한 민북지역으로 들어가는 특수상황임을 감안해 사전에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임진강 평화 전망대의 모습. 다만 여기선 북한 땅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강 평화 전망대의 모습. 다만 여기선 북한 땅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이곳에 가면 임진강 평화전망대가 있는데 이곳에선 산으로 막혀 있는데다 북한과 제법 거리가 있어서 북한 땅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임진각 옥상에 있는 전망대에서도 북한 땅은 잘 보이지 않는데 다만 맑은 날에 보면 개성시가 희미하게 보인다고 한다.

캠프 그리브스의 모습. 과거 미군 기지가 있었던 곳이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캠프 그리브스의 모습. 과거 미군 기지가 있었던 곳이다.(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북쪽구간에 '갤러리 그리브스'라는 시설이 있는데 2004년 기지 반환 전까지 볼링장으로 사용했던 건물을 활용한 것이다. 이곳은 별도 요금을 지불해야 하며 오후 5시에 문을 닫기 때문에 그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 밖에 주차장 옆엔 평화랜드라는 소규모 놀이공원이 있어 아이들에게 좋은 놀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임진각 평화의 종.(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임진각 평화의 종.(사진=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이렇게 임진각을 와 보면 다시금 남북통일에 대해 많은 생각을 들게 한다. 하지만 남한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남북 정책의 연속성이 단절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북한은 여전히 자신들의 체제 붕괴에 대한 불안감으로 더욱 폐쇄적인 행태를 띄고 있어 도무지 진척이 보이질 않고 있다.

이제 임진각에서 제를 올리는 실향민들도 여전히 북녘 땅에 가족을 두고 온 이산가족들의 숫자도 하나둘씩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고 있는데 언제쯤이면 저 산과 강 너머의 땅에 갈 수 있게 될 것인지 ......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0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일반주간신문)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다 01283
  • 등록일 : 2012-07-01
  • 창간일 : 2012-07-01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인터넷신문)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75-6 3층
  • 대표전화 : 042-389-0087
  • 팩스 : 042-389-00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광석
  • 법인명 : 굿모닝충청
  • 제호 : 굿모닝충청
  • 등록번호 : 대전 아00326
  • 등록일 : 2019-02-26
  • 발행인 : 송광석
  • 편집인 : 김갑수
  • 굿모닝충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굿모닝충청. RS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mcc@goodmorningcc.com
ND소프트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