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최초의 인류로 불리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지금까지 약 300만 년의 인류 역사 중 대부분은 구석기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나머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모두 합쳐도 1만 년 정도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구석기시대였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생생하게 알려주는 곳이 있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위치한 구석기시대 유적지는 동아시아 최대의 구석기 유적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유적지가 화제가 된 것은 동양에서 최초로 주먹도끼류 그 중 가장 유명한 형태인 '아슐리안형 뗀석기'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는 종래의 모비우스설을 논파하는 증거였다.
과거엔 아슐리안형 뗀석기는 북아프리카, 유럽, 중동, 인도 등지에서는 널기 발견되어 왔으나, 꽤 오랫동안 히말라야 산맥 너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리적 이유로 문화가 갈린 것으로 여겨젔으며, 이에 따라 아슐리안형 뗀석기 문화와 찍개형 뗀석기 문화를 나눠 구분한 설이 미국의 고고학자인 H.모비우스가 제창한 모비우스 설이다.

이렇게 두 문화를 가르는 경계를 주창자의 이름을 따 모비우스 라인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1978년 주한미군 공군 기상 관측병이자 고고학도였던 그렉 보웬이 자신의 한국인 여자친구 이상미와 한탄강을 산책하다 '이상한 돌'을 하나 발견했고 고고학도였던 보웬은 이것이 바로 아슐리안형 뗀석기 주먹도끼임을 확인했다.
이 때문에 아슐리안형 뗀석기 문화와 찍개형 뗀석기 문화를 나눠 구분한 모비우스 설은 전곡에서 발견된 이 주먹도끼로 인해 폐기됐다. 그의 발견 이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주변에서 4,000여 개가 넘는 석기 유물이 추가로 발굴되어 한반도 고고학에 큰 업적을 남겼다.

물론 이는 부작용도 남겼는데 한국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자 이를 시샘한 일본 고고학계가 '사기극'을 저지르는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27만 년 전 유물이 발견된 한국과 달리 일본에선 지금까지 발견된 유물의 연대 중 가장 오래된 것이 3만 년 전의 것이었다. 사실상 구석기시대 유적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시피 했다.
그 때문에 일본 사학계와 고고학계가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때 혜성처럼 나타난 인물이 바로 후지무라 신이치란 사람이었다. 마치 그는 마이다스의 손마냥 땅만 파면 저절로 유물이 나올 정도였고 마침내 그는 무려 '80만 년' 전 유물까지 발굴해내며 구석기시대 유적지가 없어 끙끙 앓던 일본 사학계와 고고학계의 구세주로 등극했다.

하지만 그의 여러 가지 발견에 의심을 품었던 한 언론사가 후지무라 신이치의 발굴 현장을 몰래 취재했더니 그가 유물을 미리 파묻어놓고 발견한 척 쇼를 한 것임이 드러났다. 연천 전곡읍 전곡리 유적지 발견으로 콤플렉스를 이기지 못했던 일본 사학계와 고고학계의 행태가 결국 후지무라 신이치라는 사기꾼을 낳은 셈이다.

이곳에 가보면 아이들이 구석기시대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공간도 있어 더욱 좋다. 구석기 유물 발굴 현장 체험 공간도 있고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썼던 돌화살 쏘기 체험, 구석기시대 사람들처럼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는 바비큐 체험, 구석기시대 장신구 제작 체험 등 갖가지 놀이 공간이 있어 아이들로 하여금 더욱 역사를 실감나게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입장료도 무료이고 최근엔 경기도 연천군까지 서울도시철도 1호선이 연장돼 과거에 비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다만 전곡역에서 이곳까지 걸어서 약 30분 정도 걸린다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 버스가 가긴 하지만 연천군은 인구가 적은 곳이어서 버스가 자주 오지 않는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아이들에게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는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구석기시대 유적지에 한 번 가보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