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지난 12.3 내란 사태 당시 일부 언론사들에 대한 단전과 단수 지시가 있었다는 검찰 수사 결과가 큰 파장을 불렀다. 그런데 21일 M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군이 작년 22대 총선 직후 방송사 5곳에 건물 내부 도면을 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다. 군은 테러 대책 수립을 이유로 그랬다고 했지만 정작 무슨 테러 위험이 있었냐는 질문엔 묵묵부답인 것으로 알려졌다.
MBC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이 12.3 내란 수개월 전부터 국내 주요 방송사들에 건물 내부 도면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 부대는 내란 당일 국회에 투입돼 의원들을 끌어내란 지시를 받았던 그 부대다. 이들은 국회 외에도 한남동 지역에 가서 출동 대기를 하고 있었고 1개 대대는 서대문 일대에 출동 대기를 하고 있었다.
이렇게 내란 과정 곳곳에서 동원됐던 1경비단 예하 부대들에게 어떤 임무가 더 맡겨졌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이들이 국내 주요 방송사들에게 건물 내부 도면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MBC는 MBC 등 지상파 3사를 포함해 모두 5곳에 공문이 발송됐고, 이 중 3곳은 건축물현황도를 제출했다고 했다.
건축물 현황도는 건물의 구조는 물론, 출입구와 전기·통신·수도 등 설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면인데 MBC는 내란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MBC 등 일부 언론사들에 대해 단전·단수를 지시했다는 검찰 수사 결과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즉, 계엄령 선포를 염두에 두고 방송국 점거를 위해 도면을 입수하려 했다는 것이다.
특히 수방사가 도면 제출을 요청한 시점은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참패한 직후인 작년 4월 22일이었다고 한다. 이는 총선 직전 윤 대통령이 삼청동 안가에 군 수뇌부와 국정원장 등을 불러모아 '비상대권'을 운운하며 계엄 의지를 내비쳤던 정황과도 맥이 닿아 있다.
따라서 수방사의 방송사 도면 제출 요구는 계엄령 선포 직후 방송사를 장악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으며 보다 빨리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MBC와 인터뷰를 한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경기 안산을)도 "방송사 장악 시도가 있었다면, 권력 남용을 넘어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중대한 행위다"며 "군의 방송사 도면 요구 역시 계엄 사전 준비 과정일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물론 이에 대해 수방사는 '국가 주요 시설들의 테러 예방 대책을 만드는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MBC는 군이 방송사에 건물 도면을 요구한 건 최근 10년간 없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MBC가 수방사 측에 방송사들에 대한 테러 위험 징후가 있었는지 등을 추가로 질의했지만 묵묵부답이었다는 점도 수상한 대목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