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이종현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는 6일 지천댐 건설 추진과 관련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찬성과 반대 양측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힌 뒤 “충분한 협의와 논의를 거쳐 후보지로 최종 확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협의체 구성 후 여론조사 등 절차도 갖겠다”고 부연했다.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지천댐 건설에 대해 지속 추진 의지를 재확인한 셈이다.
김 지사는 “충남은 만성 물 부족 지역으로 용수의 80% 이상을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다”며 “지천댐 건설은 물이라는 큰 자원을 앞으로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해야 할지 미래를 준비한다는 큰 틀 속에서 고민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천은 지형적인 여건과 풍부한 수량으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최적지”라며 “충남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댐 건설 지역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주민의 일방적 피해만 강요했던 시대는 지났다”며 “댐 건설법 시행령 개정으로 국가지원이 330억 원에서 770억 원으로 증액됐고, 도에서도 1000억 원을 추가 지원, 주거·산업·농축산·관광분야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산업단지 조성 및 앵커기업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수몰지역 주민들이 모여 살 수 있게 이주단지 조성도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계속해서 김 지사는 “주민 생계를 위해 태양광, 스마트팜, 대토 등도 지원하겠다”며 “축사 현대화,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등 깨끗하고 안정적인 축산 기반도 마련하고 전망대, 출렁다리 등 관광 명소화 계획도 수립·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댐 건설에 따른 마을 공동체 파괴 등 반대 측 주장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과 관련해선 “군민에게 피해만 주고 이익은 타 시·군이 가진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면서 “청양과 부여지역에 부족한 생활‧공업용수를 우선 공급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몰‧인접지역 주민 대부분이 댐 건설에 창성하고 있다”며 “도는 주민이 원하는 고셍 이주단지를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천댐은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지역발전을 이끄는 핵심사업이 될 수 있도록 제대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댐 건설에 신중함을 보여온 김돈곤 청양군수가 김 지사의 이런 방침에 어떤 입장을 밝힐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군수는 지난해 12월 이후 열지 않고 있던 정례 언론 브리핑을 이달 중 재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이 사업은 청양 장평면에서 부여 은산면 일원에 약 5000억 원을 들여 5900만 톤 규모의 댐을 건설하는 것이 골자다. 관광 인프라 시설도 조성될 예정인데, 유역면적은 193㎢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