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국회의원(경기안양시만안구)이 19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전격 요구했다.
대통령실이 20일 이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논의할 예정인 가운데, 친명계 핵심 인사가 정권 내부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선 긋기'에 나섰다는 점에서 정무적 파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교육부 수장은 단순한 고위공직자가 아니라 교육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라며, “연구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한 결격 사유”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명했으니 무조건 임명을 밀고 가야 한다는 접근은 국민에게 오만으로 비칠 수 있다”며, “우리는 윤석열 정권과 달라야 한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자진사퇴는 이재명 정부의 교육개혁 의지를 지키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경기도의회 의장과 연정부지사, 더불어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등을 역임하며 이재명 대통령과 지방자치 시절부터 정치적 인연을 이어온 대표적 친명계 인사다. 이재명 대통령의 성남시장 시절 무상급식 논쟁에서도 함께 “밥으로 차별하지 마라”고 목소리를 냈던 인물이다.
이처럼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의 상징성과 교육이라는 백년대계의 무게를 모두 의식한 발언은 단순한 우려 표명이 아니라, 대통령실을 향한 사실상 공개된 내부 경고로 해석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국회의원(울산남구갑)도 지난 17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이 후보자에 대해서만큼은 이건 아니다”라며 자진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제자의 오탈자까지 그대로 복사한 논문은 아무리 이공계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부적절하다”며 “대통령도 이 정도 문제까지는 몰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의원이 논란이 된 여러 후보자들 중 이진숙 후보자만을 특정해 정면 비판하고 나선 점도 의미심장하다. 보좌진 갑질 논란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은 채, 교육부 장관직의 상징성과 제도 신뢰 훼손 문제에 방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정치권 안팎에선 “(카더라에 의존한) 인품 논란이 주된 강선우 후보자와 달리, 이진숙 후보자는 교육 정책과 제도의 정당성, 전문성, 윤리성이라는 측면에서 ‘용납할 수 없는 결격’으로 판단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대통령실은 20일, 이 후보자를 포함한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 결과에 대한 내부 보고 및 후속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인사청문회 관련 내부 검토는 내일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해온 ‘물소떼 전략’, 후보자들을 일괄 임명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 이번 논의를 통해 시험대에 오를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여권 내부에서조차 자진사퇴 요구가 공개적으로 제기된 이상, 대통령실의 논의 결과는 이진숙 후보자 임명 강행을 둘러싼 정무적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