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대전의 인구는 줄지 않았다. 그러나 그 안에서 균형은 무너지고 있다. 유성구가 팽창하는 동안, 원도심의 등불은 점차 희미해졌다. 도시의 성장 그래프는 여전히 ‘양호’하지만, 사람들의 이동은 뚜렷한 기울기를 그리고 있다.
이제 대전의 위기는 감소가 아니라 쏠림의 심화, 그리고 관계의 단절에 있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대전연구원(원장 김영진)은 6일 대전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대전시 인구감소 문제, 그 해법을 찾다!’ 세미나를 열었다.
도시 내부의 불균형을 진단하고, 외국인·유학생 정주정책과 광역비자 등 새로운 인구전략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박진경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전은 2000년 이후 인구 총량이 3.9% 증가하며 겉보기엔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서구 인구가 유성구로 이동하며 전체는 제자리걸음 상태”라며 “외곽개발 중심의 도시 확장은 결국 내부 공동화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전시가 본청 주도로 통합 인구전략을 세우고, 도시개발과 산업정책에 ‘인구영향평가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원도심의 회복 없이는 대전의 지속가능성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광원 대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인과 유학생의 정주 전략을 대전형 인구정책의 새로운 축으로 제시했다.
그는 “대전은 체류 외국인 중 유학생 비율이 압도적이지만, 졸업 후 정주율은 낮다”며 “분산된 행정체계를 묶어 ‘인구활력·청년대학·외국인공동체팀’으로 구성된 전담 관(館)을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광역비자에서 대전이 제외된 것은 뼈아프지만, ‘대전형 광역비자(E7-D)’를 준비하며 거버넌스를 재편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전의 인구는 버티고 있지만 구조는 불안하다. 유성구의 성장세가 균형을 보완하기보다 불균형을 드러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정주와 산업, 인재 정착이 함께 맞물리지 않는다면, 대전 역시 완만한 감소 국면으로 향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