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대전시의 전략산업 및 바이오 분야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으로 드러나자 대전시의원들이 한목소리로 우려를 쏟아냈다. 24일 열린 산업건설위원회 예산 심사 첫날, 의원들은 “행사비는 그대로면서 미래 먹거리 예산은 줄었다”며 시의 안일한 인식과 전략 부재를 날카롭게 지적했다. 특히 바이오기업 지원 축소, 소상공인 사업 평가 부재 등 현안 전반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위원장 송인석)는 24일 제291회 제2차 정례회에서 미래전략산업실·경제국 소관 안건과 2026년도 본예산을 심사했다. 첫날부터 대전시가 미래 핵심산업 예산을 대폭 삭감한 데 대한 강한 우려가 위원회 전반에서 제기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박주화 의원(국민·중구1)이 대표 발의한 '대전시 명장 선정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시장이 제출한 '공유재산 사용료 감면 동의안'을 심사하고, 두 부서의 내년도 예산안이 집중 논의됐다.
김영삼 부위원장(국민·서구2)은 바이오기업 지원 사업 예산이 일괄적으로 감액된 점을 지적하며 “대전시는 바이오 생태계의 체력을 강화하는 일에 손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상장 준비 기업뿐 아니라 성장 가능성이 높은 강소기업을 적극적으로 키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선광 의원(국민·중구2)은 “행사성 예산은 대부분 유지됐는데 전략산업 예산만 삭감됐다”며 “대전의 미래 경쟁력과 직결되는 분야의 투자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밖에도 의원들의 다양한 지적이 이어졌다. 박주화 의원은 소상공인 경영회복 지원사업의 낮은 접수율과 부실한 성과 관리체계를 지적했다. 박 의원은 “매출 회복과 고용 유지 효과조차 확인되지 않았다”며 “내년 계획을 세우기 전 문제부터 정확히 짚어야 한다”고 말했다.
방진영 의원(민주·유성구2)은 바이오교류회의 실효성을 문제 삼으며 “단순 소개 행사를 넘어 실제 투자로 이어지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송활섭 의원(무소속·대덕구2)은 카이스트 개방형 양자팹 구축 사업과 관련해 “200억 원이 투입되는 만큼 연차별 사업 계획을 구체화해야 한다”며 주관기관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한편 산건위는 미래전략산업실 소관 ‘공유재산 사용료 감면 동의안’과 경제국 소관 ‘대전시 명장 선정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모두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