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국회 탄핵소추를 앞두고 지난 1일 사퇴한 이후 공석이 된 자리에 검사 출신의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선임하려 했으나 5일 본인이 고사해 후임자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공석이 된 방송통신위원장 지명은 전광석화처럼 진행 중인 윤석열 정부가 정작 여성가족부 장관 후임자 임명은 방치하고 있어 역시 논란이 되고 있다.
당초 윤석열 정부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가짜뉴스 대응’ 및 ‘지상파 재허가 심사와 YTN 최대주주 변경 승인 처리 등 연내 현안이 산적한 상황’이란 명분을 내세워 법률가 출신 방송통신위원장을 생각했다고 한다. 관련법을 엄밀히 다뤄야 하는 특수성을 고려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당초엔 이 전 위원장과 호흡을 맞췄던 판사 출신의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이 물망에 올랐다고 한다. 그러나 이 부위원장 본인이 고사하며 인선이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때 급부상한 것이 김홍일 위원장이라 한다. 하지만 5일 MBC 보도에 따르면 김홍일 권익위원장 또한 고사해 후임자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 외에 거론된 후보군은 언론인 출신 최금락 전 청와대 홍보수석, 이진숙 전 대전 MBC 사장 등이라 한다. 하지만 이들 모두 과거 이명박근혜 정부 시절 '어용 언론인'이란 비판을 들었던 인물들이라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과 크게 결이 다르지 않은 인물이란 지적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즉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이 아니라도 후보군에 거론된 인물 모두 '언론 장악'에 염두를 둔 인사들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방송통신위원장보다 더 급한 자리가 있다는 것이다. 바로 여성가족부 장관이다. 지난 여름 역대급 실패작으로 남은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운영에 대해 책임을 진다고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사의를 표명했다.
그리고 지난 10월 개각 대상으로 여성가족부가 포함됐고 김행 씨를 후임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김행 씨는 주식파킹 의혹 등에 휘말리며 결국 낙마했지만 그 후로 두 달이 지나도록 후임 장관 인선 소식은 없고 여전히 잼버리 사태의 책임자인 김현숙 장관이 유임 중이다.
이번 윤석열 정부의 개각 대상도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국가보훈부, 농림축산식품부, 중소벤처기업부까지 총 6개 부처로 여기에 여성가족부는 빠져 있다. 김현숙 장관이 사의를 표명한 것이 석 달 전의 일이었고 김행 씨가 낙마한 것도 두 달 전의 일이었건만 윤석열 정부는 그 후로 후임 장관을 인선할 생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방송통신위원장 자리는 공석이 되자마자 곧바로 후임자를 내정하려 하고 있기에 윤석열 정부가 국정 운영보다는 언론 장악에 혈안이 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각 대상으로 지목된 부처들의 장관들 공통점이 대부분 내년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던 인물이란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