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조선일보가 7일 새벽 윤석열 대통령의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지명에도 직격탄을 날리는 사설을 보도해 이목을 끌고 있다. 아마도 언론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비전문가 검사 출신 인물을 또 다시 등용해 윤석열 정부가 스스로 ‘검찰 공화국’이란 오명 속으로 들어가고 있기에 이런 사설을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일보는 이 날 새벽 〈방통위원장까지 검사 출신, 꼭 이렇게 해야 하나〉란 제목의 사설을 발표했다. 그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내정한 것에 대해 “검사 출신이라고 방통위원장을 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방통위는 규제 기관으로서 위원장이 법률 지식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방통위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함께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 등의 업무를 하는 기관이다”고 지적했다. 즉, 김홍일 후보자 지명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본래 업무와 전혀 거리가 먼 인사라는 뜻으로 보인다. 또 조선일보는 방송통신위원회에는 200여 명의 직원이 있고 그들이 뒷받침을 하고 있기에 위원장이 실무적으로 법률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 자리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또 조선일보는 역대 위원장 7명 중 4명이 언론인 출신이었지만 별 문제가 없었으며 “오히려 방송사 재승인 점수 조작 같은 범죄가 벌어진 것은 변호사 출신 한상혁 전 위원장 때였다”고 해 검사 출신 김홍일 후보자를 방통위원장으로 임명하는 것에 우회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했다.
물론 그러면서도 조선일보는 김홍일 후보자 지명의 책임을 더불어민주당으로 떠넘기는 것도 잊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총선을 앞두고 자기들 편을 들어줄 방송사를 지키기 위해 취임 석 달밖에 안 된 이동관 전 위원장을 무리하게 탄핵해 직무를 정지시키려 했다”고 하며 책임을 뒤집어 씌웠다.
즉,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을 염두에 두고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을 무리하게 탄핵하려고 시도하면서 방송통신위원회의 기능을 마비시켰다고 뒤집어 씌운 것이다.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이 석 달 간 재임하면서 저지른 언론 탄압 행태 등에 대해선 일언반구 언급도 없이 더불어민주당 탓으로 떠넘긴 셈이다.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 탄핵에 찬성하는 여론이 과반 이상이었던 것도 조선일보는 애써 무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일보는 이런 더불어민주당의 무리한 탄핵소추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이 “연말로 예정된 지상파 방송사 재허가, 포털 규제 등 국정 공백을 막아야 했기에” 새 위원장을 조속히 임명해야 했고 사람들이 청문회를 기피하며 인물난이 발생해 급하게 인물을 찾다 보니 오래 전부터 알고 지낸 검사 출신 인물들에게 눈길이 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조선일보는 “하지만 이미 현 정부 들어 과거엔 검사들이 가지 않던 자리에 검찰 출신이 임명돼 ‘검찰 공화국’이란 말이 나오는 실정”이라고 지적하며 검사들이 정부 요직에 들어가 있는 현 정부의 실태가 비정상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대통령은 임기 초반 ‘검사 출신 인사가 너무 많다’는 지적에 ‘필요하면 더 하겠다’고 했다. 아직도 그런 마음가짐인지 묻고 싶다”는 말로 끝맺었다.
조선일보가 이런 사설을 내면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경고장을 날린 이유는 아마도 같은 날 발표한 양상훈 칼럼과 같이 현재 윤석열 정부에 계속해서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윤석열 정부에 있어서 양쪽 아킬레스 건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김건희 여사와 검찰 출신 위주 인사 문제라 할 수 있다.
조선일보가 양상훈 칼럼을 통해 김건희 여사를 향해 “나서지 말고 조용히 있으라”고 경고를 하고 사설을 통해 “김홍일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고 경고한 것 또한 이 두 가지가 현재 윤석열 정부의 가장 큰 아킬레스 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두 문제가 현재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을 좀먹고 있는 요소이기에 정권 붕괴를 막기 위해 이렇게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