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추석(17일) 강원도 육군 15사단을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걱정 없이 임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국군통수권자로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이같은 약속과 달리, 실제로 육군 장병들에게 제 때 지급되지 못한 수당 규모가 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국방부으로부터 제출받은 '수당 지연지급 전수조사 결과보고'에 따르면 지난 7월까지 육군 내에서 지연지급된 수당은 총 287명(1억9천510만원)이었다.
지연지급된 대상자 298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시간 외 근무수당'으로, 총 191명이 1억4천396만원을 '늑장 지급' 받았다.
다음으로 많은 비중은 '특수업무 수당(의료업무, 항공, 기술, 장려수당)'으로 79명(4천560만원)이었다.
이밖에 '특수지근무수당' 10명(약 160만원), '기타(주택수당, 연가보상비)' 5명(약 320만원), 위험근무수당 2명(약 75만원) 순이었다.
지연지급된 사유는 '시간 외 근무' 검증이 늦어진 이유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실무자 입력 착오, 시스템 오류, 심의 누락 등이었다.

육군은 올해 1월부터 경계부대에서 추가근무 인정 시간이 늘어나면서 이를 검증하느라 지급이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실무 착오나 시스템 오류 등 나머지는 명백한 '업무 소홀'이나 '책임 방기'라는 지적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정부는 2025년도 국방예산을 작년보다 3.6% 증가한 61조5,878억 원으로 편성했다. 국방예산이 60조원을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중 상당 부분은 군 간부와 장병들의 복무 여건에 개선에 반영된다.
결국 윤 대통령은 장병 수당 지급 현실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 한 상태로 말로만 "근무 여건 개선"을 떠들어 댄 셈이 됐다.
추 의원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군인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시간외 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등이 미지급되다가 뒤늦게 부랴부랴 지급되는 황당한 사건이 발생했다"며 "국방부는 체계적인 지급실태 점검으로 재발 방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