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한겨레21의 보도에 따르면 명태균이 경남 창원 신규 국가 첨단산업단지(창원국가산단) 선정 4개월 전에 '김건희 여사 보고용' 문서를 만들도록 지시한 사실이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명태균과 김건희 여사 두 사람 모두 국정에 개입할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기에 국정농단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21은 29일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비례대표)을 통해 명태균과 그가 실질적으로 운영했던 미래한국연구소 직원 겸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회계책임자 강혜경 씨의 2022년 11월 23일 통화 녹음 파일을 여러 개 입수해 이 사실을 보도했다. 이 날은 국토교통부 실사단이 경남 창원시 현지에 창원국가산단 부지 심사를 온 날이었다.
창원국가산단은 명태균이 활동해온 창원 지역 숙원사업이었는데 2023년 3월 15일 열린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 방침을 밝혔고 창원시 의창구 북면, 동읍 일대 339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창원시 의창구는 바로 김영선 전 의원의 지역구인 동시에 명태균이 실질 운영한 미래한국연구소가 위치해 있는 곳이다.
한겨레21은 이 날 부지 심사가 끝난 뒤 명태균이 오후 7시 41분에 강혜경 씨에게 전화를 걸어 창원국가산단 관련 보고서 작성을 지시하며 “윤석열 사진을 위로 올려서 그 크기로 ‘국가 산단이 필요합니다’ 넣어야 한다”며 “이건 부탁하는 거거든 사모(김건희 여사)한테”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지시에 강 씨가 지금 다 퇴근해서 보고서 제작할 사람이 없다고 하자 명태균은 다음 날 오전에라도 만들어도 된다며 조금 며칠 있다 보내도 된다는 투로 말했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보고서가 당일 현지에 온 실사단이 아닌 엉뚱하게도 김건희 여사에게 보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는 점이다.
대통령 배우자에 불과한 김건희 여사가 창원국가산단에 대해 보고받을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 남는다. 또 한겨레 21은 역시 민간인인 명태균이 이 날 국토교통부 실사단 안내를 사실상 주도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도 다시 한 번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날 낮 12시 24분 통화에서 명태균이 강 씨에게 “창원대 정문 앞에서 기다리고 있을 테니까 빨리 와요. 거기서 (김영선 의원) 머리하고 들어가야지, 사람들 앞에”라고 말했다. 창원대학교는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에 위치해 있는데 인근의 철길만 건너가면 바로 국가산단 부지로 선정된 북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또한 오후 2시 6분 통화에선 강혜경 씨에게 전화를 걸어 김영선 전 의원을 바꿔달라고 한 뒤 “아니 버스 대산(면) 돌아가는데 거기 감사 오신 분들이 멀다고 이거 같이 공단 해주겠어요. 거긴 고속도로에요. 이건 샛길이에요”라며 “거기 가서 크게 이야기하시라고, 벌써 따라온 사람들 도착했대 벌써, 왜 안 오냐고 버스가”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실사단과 부지 심사 현장에 먼저 도착한 명태균이 아직 현장에 도착하지 않았다며 김 전 의원을 질타하는 내용이다. 이는 일찍이 뉴스토마토에서 명태균과 김영선 전 의원이 '역전된 주종관계'이며 명태균이 수시로 김 전 의원을 하대했다는 강혜경 씨의 증언과도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다.
또 한겨레21은 미래한국연구소 법적 대표인 김태열 소장이 “2022년 연말 국토부 공무원들이 산단 입지에 대한 현장 조사를 할 때 명씨가 현장을 다 안내했다”며 “(창원지역에서) 산단에 포함되지 않은 곳에 땅을 사놓은 사람들이 나중에 명씨한테 항의할 정도였다”고 증언한 사실을 보도했다.
이에 대해 명태균은 “(국토부 공무원) 안내한 바 없고, 차 타고 쫓아다녔다. 난 공무원 만난 적도 없다”고 반박했는데, 이날 녹음이 공개되면서 거짓해명으로 보인다. 국정에 개입해선 안 되는 민간인 명태균과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창원국가산단 보고서를 주고받을 이유가 무엇인지 논란이 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